-
-
러시아 외교정책의 이해 : 대립과 통합, 푸틴의 길
발행연도 - 2019 / 지음: 고재남 / 역사공간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453428
-
ISBN
9791157071968
-
형태
463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사회과학
>
정치학
>
외교, 국제관계
-
카테고리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
>
각국정치
책소개
러시아는 왜 제3의 길, 주류 질서에 편승·편입하기보다는 대립과 경쟁, 그리고 독자의 길을 추구하는가? 외교·안보 정책에서 소위 ‘러시아의 길’이란 무엇인가? 그에 대한 낮은 수준의 해답이라도 찾아보려는 목표로 저술된 책이다.
목차
책머리에
제1장 소련의 외교정책 개관
1. 외교정책의 목표
2. 레닌 시기부터 고르바초프 시기까지의 외교정책
제2장 러시아 외교정책의 결정 요인과 행위자
1. 서론
2. 외교정책 결정의 주요 요인
3. 외교정책 결정의 주요 행위자
제3장 러시아의 외교‧안보 전략
1. 서론
2. 외교정책 결정의 주요 요인
3. 외교정책 결정의 주요 행위자
제4장 러시아와 CIS 통합운동의 전개
1. 서론
2. CIS의 출범 및 발전 과정 개관
3. 러시아의 CIS 통합정책
4. CIS 통합운동의 유형과 전개
5. 최근 CIS 통합운동의 특성
제5장 러시아의 중앙아시아 정책과 다자협력
1. 서론
2. 러시아의 중앙아시아 정책 목표
3. 러시아의 중앙아시아 정책 변화와 배경
4. 러시아의 중앙아시아 내 다자협력정책의 실제
5. 결론
제6장 유라시아 중부 지역 내 ‘신 거대게임’과 러시아
1. 서론
2. ‘거대게임’의 재현 배경과 주요 특징
3. 유라시아 중부 지역의 전략 환경
4. 러시아 외 주요국들의 정책
5. 러시아의 정책적 대응
6. 결론
제7장 러‧중 관계의 발전과 미국 요인
1. 서론
2. 러·중·미 3각 관계의 형성과 미국의 전략
3. 냉전기 소·중 관계의 발전과 미국 요소
4. 탈냉전기 러·중 관계의 발전과 미국 요인
5. 결론
제8장 미‧러 관계의 변화와 갈등 요인
1. 서론
2. 옐친 정부 시기 미·러 관계의 발전 개관
3. 제1기 푸틴 정부의 외교정책 목표와 실제
4. 푸틴 집권 후 미·러 관계의 변화와 갈등 심화 추이
5. 미·러 간 갈등 지속 및 심화 배경
제9장 미‧러 군비통제 갈등과 INF조약
1. 서론
2. 미·러 간 군비통제조약 체결 현황
3. 냉전기 미·소 간 군비통제조약 위반 논쟁
4. INF조약을 둘러싼 미·러 군비통제 갈등의 전개
5. INF조약을 둘러싼 군비통제 갈등의 배경
6. 미·러 간 군비통제 갈등의 파급 영향
제10장 한‧러 외교관계 30년의 추이
1. 서론
2. 미·러 간 군비통제조약 체결 현황
3. 냉전기 미·소 간 군비통제조약 위반 논쟁
4. INF조약을 둘러싼 미·러 군비통제 갈등의 전개
5. INF조약을 둘러싼 군비통제 갈등의 배경
6. 미·러 간 군비통제 갈등의 파급 영향
제11장 러·북 외교관계 70년의 전개
1. 서론
2. 냉전기 소·북 외교관계의 변화와 요인
3. 탈냉전기 러·북 외교관계의 변화와 요인
4. 러시아의 대북 핵·미사일 정책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