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중국관행연구총서』 간행에 즈음하여
한국어판 서문
옮긴이 글
서론
1. ‘중국’이라는 척도
2. ‘종교’라는 담론
3. 방법으로서의 결사
4. 본서의 구성
Ⅰ 담론
제1장 표상으로서의 종교―1893년 「시카고만국종교대회」와 중국
1. 종교의 향연
2. 펑광위彭光譽의 종교관
3. 번역된 유교와 도교
4. 선교사의 중국종교관
5. 일본의 관점
6. religion에서 종교로
제2장 ‘기독교洋敎’라는 타자―19세기 후반 기독교와 중국사회
들어가며
1. ‘질서’로서의 기독교
2. ‘타자’와의 거리―종교 감정의 불일치
3. 반전反轉하는 타자―종교조직의 엇갈림
나오며
제3장 지진地震의 종교학―홍만자회紅卍字會와 오모토교大本敎의 관계를 중심으로
들어가며
1. 첫 만남
2. 구휼미
3. 제휴
나오며
Ⅱ 권력
제4장 토비土匪의 정치학―당안사료檔案史料에 나타난 화북華北 지역의 토비
들어가며
1. 토비의 생성
2. 토비의 세계
3. 방비防匪와 초비剿匪
4. 정치세력과 토비
5. 병兵과 비匪의 합류
나오며
제5장 식민지의 종교결사―‘만주국’과 홍만자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들어가며
1. 만주의 종교결사
2. 만주의 홍만자회
3. 오모토교, 홍만자회 그리고 ‘만주국’
4. 교화단체로서의 홍만자회
5. 종교결사 통합의 딜레마
나오며
제6장 전시戰時 하의 가로회哥老會―충칭국민정부重慶國民政府의 사회통합과 가로회
1. 문제의식
2. 사회재편과 가로회 관리
3. 국가의 논리와 결사의 논리
4. 공무원의 입회금지
맺으며
제7장 전후戰後의 결사結社―난징국민정부南京國民政府의 권력재건과 방회幇會
들어가며
1. 상하이 청홍방靑洪幇과 국민당정권
2. 톈진天津의 청홍방과 국민당정권
3. 방회와 정당정치
4. 국민당정권의 방회 통합
5. 진보위원회와 민중산民衆山─옌시산閻錫山의 방회 이용
나오며
Ⅲ 서술
제8장 폭동 없는 ‘폭동’―1929년 쑤첸현宿遷縣 소도회사건小刀會事件을 중심으로
1. 문제의식
2. 청천백일기靑天白日旗 하에서
3. 상징적인 사건
4. 현장縣長의 변명
5. 소도회는 비적匪賊이었나?
6. 승려들의 호소
맺으며
제9장 조조사增上寺의 향당香堂―1933년 만주 재가리在家裡 대표단의 일본방문을 중심으로
1. 만주에서 오다
2. 결사로서의 재가리
3. 재가리와 재만在滿 일본인
4. 재가리 방일의 결말
5. 감시 하에서의 협력
맺으며
부록
제10장 텍스트 안의 허구―1942년 리청黎城 리괘도사건離卦道事件을 중심으로
1. 문제의식
2. 혁명과 전쟁
3. 촌민과 ‘노야老爺’
4. 표상으로서의 사건
맺으며
결론
1. 침묵의 피사체
2. 결사의 정치학
3. 사회사와 개념사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