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중국과 관련된 역사서술을 보면, 언젠가부터 ‘결사’란 두 글자 앞에는 ‘비밀’이란 접두어가 습관처럼 따라붙게 되었다. 저자는 비밀결사의 개념을 가치중립적으로 파악하는 가운데 그것을 중국사회 내부의 사람과 사람 사이의 네트워크 혹은 그 연결고리로 정의하였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중국관행연구총서』 간행에 즈음하여
한국어판 서문
옮긴이 글

서론
1. ‘중국’이라는 척도
2. ‘종교’라는 담론
3. 방법으로서의 결사
4. 본서의 구성

Ⅰ 담론
제1장 표상으로서의 종교―1893년 「시카고만국종교대회」와 중국
1. 종교의 향연
2. 펑광위彭光譽의 종교관
3. 번역된 유교와 도교
4. 선교사의 중국종교관
5. 일본의 관점
6. religion에서 종교로
제2장 ‘기독교洋敎’라는 타자―19세기 후반 기독교와 중국사회
들어가며
1. ‘질서’로서의 기독교
2. ‘타자’와의 거리―종교 감정의 불일치
3. 반전反轉하는 타자―종교조직의 엇갈림
나오며
제3장 지진地震의 종교학―홍만자회紅卍字會와 오모토교大本敎의 관계를 중심으로
들어가며
1. 첫 만남
2. 구휼미
3. 제휴
나오며

Ⅱ 권력
제4장 토비土匪의 정치학―당안사료檔案史料에 나타난 화북華北 지역의 토비
들어가며
1. 토비의 생성
2. 토비의 세계
3. 방비防匪와 초비剿匪
4. 정치세력과 토비
5. 병兵과 비匪의 합류
나오며
제5장 식민지의 종교결사―‘만주국’과 홍만자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들어가며
1. 만주의 종교결사
2. 만주의 홍만자회
3. 오모토교, 홍만자회 그리고 ‘만주국’
4. 교화단체로서의 홍만자회
5. 종교결사 통합의 딜레마
나오며
제6장 전시戰時 하의 가로회哥老會―충칭국민정부重慶國民政府의 사회통합과 가로회
1. 문제의식
2. 사회재편과 가로회 관리
3. 국가의 논리와 결사의 논리
4. 공무원의 입회금지
맺으며
제7장 전후戰後의 결사結社―난징국민정부南京國民政府의 권력재건과 방회幇會
들어가며
1. 상하이 청홍방靑洪幇과 국민당정권
2. 톈진天津의 청홍방과 국민당정권
3. 방회와 정당정치
4. 국민당정권의 방회 통합
5. 진보위원회와 민중산民衆山─옌시산閻錫山의 방회 이용
나오며

Ⅲ 서술
제8장 폭동 없는 ‘폭동’―1929년 쑤첸현宿遷縣 소도회사건小刀會事件을 중심으로
1. 문제의식
2. 청천백일기靑天白日旗 하에서
3. 상징적인 사건
4. 현장縣長의 변명
5. 소도회는 비적匪賊이었나?
6. 승려들의 호소
맺으며
제9장 조조사增上寺의 향당香堂―1933년 만주 재가리在家裡 대표단의 일본방문을 중심으로
1. 만주에서 오다
2. 결사로서의 재가리
3. 재가리와 재만在滿 일본인
4. 재가리 방일의 결말
5. 감시 하에서의 협력
맺으며
부록
제10장 텍스트 안의 허구―1942년 리청黎城 리괘도사건離卦道事件을 중심으로
1. 문제의식
2. 혁명과 전쟁
3. 촌민과 ‘노야老爺’
4. 표상으로서의 사건
맺으며

결론
1. 침묵의 피사체
2. 결사의 정치학
3. 사회사와 개념사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3·1운동 백주년과 한국 종교개혁 : 우리 시대 독립의 의미를 다시 묻는다 3·1운동 백주년과 한국 종교개혁 : 우리 시대 독립의 의미를 다시 묻는다 2019 / 편: 3·1운동백주년종교개혁연대 ; 지음: 박병기 외 / 모시는사람들
한국 근현대사와 종교자유 한국 근현대사와 종교자유 2019 / 지음: 이진구 / 모시는사람들
참여와 명상, 그 하나됨을 위한 여정 참여와 명상, 그 하나됨을 위한 여정 2018 / 저자: 이정배 ; 송용민 ; 박태식 ; 최일범 ; 정은해 ; 미산 ; 김종욱 ; 이공현 / 운주사
한국 종교문화 횡단기 : 종교학자와 함께 태안에서 태백까지 한국 종교문화 횡단기 : 종교학자와 함께 태안에서 태백까지 2018 / 최종성 지음 / 이학사
역사에서 사라진 그녀들 : 젠더로 읽는 기독교 2000년 역사에서 사라진 그녀들 : 젠더로 읽는 기독교 2000년 2019 / 하희정 지음 / 선율
한국의 신종교 성지 한국의 신종교 성지 2021 / 지음: 강돈구 [외]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시민종교의 탄생 : 식민성과 전쟁의 상흔 시민종교의 탄생 : 식민성과 전쟁의 상흔 2019 / 강인철 지음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근대 중국의 종교·결사와 권력 근대 중국의 종교·결사와 권력 2019 / 쑨장 지음 ; 송승석 옮김 / 학고방
일본 종교를 알아야 일본이 보인다 일본 종교를 알아야 일본이 보인다 2020 / 지음: 최현민 / 자유문고
만들어진 종교: 메이지 초기 일본을 관통한 종교라는 물음 만들어진 종교: 메이지 초기 일본을 관통한 종교라는 물음 2020 / 지음: 호시노 세이지 / 글항아리
(종교와 종교 사이) 예루살렘 성지·전장 (종교와 종교 사이) 예루살렘 성지·전장 2015 / 차옥숭 지음 / 그린비
개벽사상과 종교공부  : K사상의 세계화를 위하여  개벽사상과 종교공부 : K사상의 세계화를 위하여 2024 / 지음: 백낙청 [외] / 창비
지도에서 사라진 종교들 : 잊혀지는 신앙과 사라진 신들의 역사 지도에서 사라진 종교들 : 잊혀지는 신앙과 사라진 신들의 역사 2016 / 도현신 지음 / 서해문집
종교생활의 원초적 형태 종교생활의 원초적 형태 2020 / 에밀 뒤르켐 지음; 민혜숙, 노치준 옮김 / 한길사
(교양으로 읽는)세계종교 : 인간과 세계와 종교 이야기 (교양으로 읽는)세계종교 : 인간과 세계와 종교 이야기 2017 / 류상태 지음 / 인물과사상사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Religion in Korea  : harmony and coexistence Religion in Korea : harmony and coexistence 2012 / Korea Foundation / Seoul Selection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