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부 국회를 생각하다
01 국회와 정부형태 | 한국의 대통령제, 그리고 국회가 가진 딜레마
02 국회의원 | 한국의 국회의원, 인원을 줄일지 늘릴지?
03 국회의장 | 다수당이 국회의장을 낳고, 그 의장은 당을 떠나고
04 여당ㆍ야당 | 정권이 먼저 생기고 그 후에 여당이 생겨난 역사
05 대통령과 여당의 관계 | ‘정당체제의 민주화’는 가능할까
06 양당제, 다당제 1 | 한국이 양당제와 다당제를 오가는 조건들
07 양당제, 다당제 2 | 16대 총선 이후 여ㆍ야 양당의 흥망사
08 정치변동과 개헌론 | 오늘날의 한국이 개헌을 부른다
09 한국 정당의 기반 | 처음부터 정당들이 지역색을 띤 것은 아니었다?
제2부 탄핵소추와 대통령, 그리고 대통령제
10 정당정치의 과제 | 국민 요구에 민감한 정당정치를 하려면
11 공존과 통합의 과제 | 민심이 갈릴 때는 어떻게 국정에 반영할까
12 정치 리더십 | 동양 전통의 관점으로 지도자 덕목을 재조명하자
13 한국의 보수와 진보 | 한국에서 보수-진보 구분은 대북관을 기준으로?
14 역대 대통령 | 초대부터 18대까지 11명의 역대 대통령
15 박근혜 1 | 선거의 여왕 박근혜, 만들어진 신화
16 박근혜 2 | ‘100% 대한민국’ 공약 실천의 성과는 있었나
17 이명박 1 | 이명박, 서울시장에서 대통령 당선까지
18 이명박 2 | ‘작은 정부, 큰 시장’론의 공과(功過)
제3부 민주화 30년의 새로운 과제를 생각하다
19 87년 체제의 완성과 극복 | 이제는 군부 쿠데타가 불가능한 사회
20 김영삼 | 문민정부의 ‘세계화’ 전략 논란과 외환위기
21 김대중 1 | 정권교체로 탄생한 김대중 정부와 정당 연합정치
22 김대중 2 | 대북 정책도 국내 정치도 포용의 패러다임으로
23 노무현 1 | 사회 역동성과 지역구도가 노무현 정부를 낳다
24 노무현 2 | 정치적 배타성 문제와 논란들
25 민주화 이후의 대통령들 | 정권 승계와 단절의 딜레마
26 민주화 이후의 발전 | 지수로 살펴본 한국의 민주주의
27 민주화 이후의 과제 | 대통령제와 이에 종속된 의회정치 구조의 개혁
28 사표(死票)의 의미 | 대세를 따라가는 표가 오히려 사표일 수 있다?
29 문재인 정부 출범 1 | 비교자료를 통해 본 문재인 대통령 당선의 의의
30 문재인 정부 출범 2 | 소통과 경청, 통합에 대한 성찰을 기대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