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지금까지 《구운몽》에 대한 관심은 주로 김만중이 창작한 원작 《구운몽》에 맞춰져 있었지만《대중들과 만난 구운몽》은 시선을 아예 반대편으로 돌린다. 원작과 원작의 심오한 메시지만큼이나, 이본의 모습, 그리고 이본의 변형된 메시지들도 중요하기 때문이다. 저자는 그중에서도 ‘대중’을 염두에 둔 ‘상업적 이본’에 초점을 맞춘다.
목차
서문
제1장 대중들과 만났던, 그러나 소외된 이본들
1.왜 비선본 계열 이본인가?
1) 이본 그 자체의 가치 조명
2) 이본들의 다채로운 변모 양상 고찰
3) 『구운몽』의 수용사적 맥락 조망
2.어떻게 고찰할 것인가?
1) 기존 이본 연구에 대한 의문
2) 잠정적 대안
제2장 양소유 중심의 시선과 세속적 윤리의식 -완판본 "구운몽"
1.양소유 중심의 시선
1) 양소유 형상화의 양상
2) 2처 6첩 형상화의 양상
3) 완판본의 자장과 인물 형상의 의미
2.세속적 윤리의식
1) 환몽구조의 변형과 주제의식의 변화
2) 주제 변화의 의미
3.소결
제3장 현실 위주의 서사와 인생무상의 주제의식 -경판본 "구운몽"
1.비일상적 서사의 소거
2.인생무상의 주제의식
3.소결
제4장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선과 감추지 못한 세속적 욕망 -동양문고본 세책 "구운몽"
1.인물에 대한 각기 다른 시선
1) 남성주인공에 대한 부정적 시선 제외
2) 처와 첩에 대한 위계적 시선 견지
3) 가족·가문 서사에 대한 관심 표출
4)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선들
2.주제적 특징
3.소결
제5장 공연을 염두에 둔 서사와 인식의 전환을 통한 주제 구현 -활자본 "연정 구운몽"
1.연정演訂의 의미
1) 다른 작품의 제목으로부터 유추할 수 있는 ‘연정(演訂)’의 의미
2) 이본의 특징에서 유추할 수 있는 ‘연정(演訂)’의 의미
2.공연을 염두에 둔 서사
1) 풍부한 상황 서술
2) 직접 발화의 빈번한 등장
3) 대화 내용의 구체적 서술
4) 시·상소문의 제시
3.인식의 전환을 통한 주제 구현
4.소결
제6장 선본 계열 자장 내의 서사와 주제 -활자본 "신번 구운몽"
1.풍부한 서사
2.인물 관계 중심의 장회 구분
제7장 대중들과 만난 "구운몽", 그 의미
제8장 보론-새로운 문제제기 -"구운몽" 판소리 계열 이본군에 대하여
1. 들어가며
2. 연구의 계기
1) 판소리 계열 이본 2종의 발견
2) ‘가사체’로 명명됐던 이본 3종에의 주목
3) 5종의 이본 비교 필요성 인식
3. 연구의 방법
1) 이본 전수조사
2) "구운몽" 판소리 계열 이본군 내 비교 연구
3) "구운몽" ‘선본 계열’과 ‘판소리 계열 이본군’ 간의 서사적 거리 연구
4) "구운몽" ‘판소리 계열 이본군’과 기존 판소리 간의 영향 관계 연구
4. 연구의 전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