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왜 여성과 소수자를 두려워하며 배제하는가? 이 책은 정동과 페미니즘, 페미니즘과 젠더 정치의 정동 효과들에 대한 이론적 연구이자, 온 힘을 다해 무언가 '다른 삶'을 만들어보기 위해 부대낀 날들의 기록이기도 하다.
목차
들어가는 말
1부 페미니즘의 신체 유물론과 젠더 어펙트 : 몸들과 카리스마의 재구축 1장 미투 운동과 페미니즘의 신체 유물론 2장 골품제 사회의 적자 재생산 구조와 권력형 성폭력 3장 해시태그의 정동이 재구축한 페미니즘 문학 4장 소녀의 죽음과 퀸의 미로 : 박근혜와 여성 카리스마의 교착
2부 여자떼 공포와 시민성의 경계 : 어펙트, 민주주의, 젠더 정치 1장 여자떼 공포와 다스려질 수 없는 자들의 힘 2장 정동의 과잉됨과 시민성의 경계 3장 사촌과 아이들, 토대 상부 구조론을 질문하다 4장 정치경제학 너머의 빈곤 5장 정동 네트워크와 정치, 사랑과 환멸의 ‘대중탕’
3부 서로-여럿의 몸들과 ‘기념’을 넘어선 페미니즘 정치 : 증강 현실적 신체와 부대낌의 복잡성 1장 전쟁 상태적 신체와 슬픔의 공동체 2장 증강 현실적 신체를 기반으로 한 반기념 정치 구상 3장 홀로-여럿의 몸을 서로-여럿의 몸이 되도록 하는, 시적인 것의 자리 4장 대중 혐오와 부대낌의 복잡성
4부 마음을 놓다 : 함께하기의 막장과 앓는 몸의 정치 1장 마음을 놓다 2장 현장은 낮은 곳이 아니다 3장 이행과 해방의 결속체들 : 대안적 인문학 운동의 곤경과 실험들 4장 부대낌과 나아감 : 막장의 실험 5장 정동적 전환과 인문의 미래 6장 무한한 상호작용, 데모
나가는 글 후주
서가브라우징
앨리스 리턴즈 : 뉴미디어 콘텐츠에 나타난 여성 캐릭터 연구2016 / 지음: 한혜원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여성교육론 = Theory of woman education2018 / 지음: 홍선미 / 한국문화사
女自 여자의 발견 : 2030 여우들의 고군분투 사회생활기2006 / 최지안 지음 / M&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