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조소앙은 대한민국임시정부와 한국독립당을 중심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로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이론가이자 사상가로 잘 알려져 있다. <소앙집>은 1930년 전후에 쓴 그들을 모아 엮은 것으로, 1932년 중국 상하이에서 간행되었다.
목차
일러두기
해제|문필 혁명가의 자화상, 《소앙집》
소앙집 상편
한국의 현황과 혁명의 추세(1930년 저술)
제1장 다른 민족 전제 아래의 정치적 유린
1. 체포만 일삼는 일본의 정치
2. 혁명 사상에 대한 단속망
3. 한국인을 탄압하는 군대와 경찰 기관
4. 죄수의 급격한 증가와 감옥의 확장
5. 언론, 집회, 결사, 출판에 대한 탄압의 일반적 상황
제2장 다른 민족 전제 아래의 교육적 탄압
1. 교육계의 모순성
2. 가혹한 입학 제한
3. 학생의 저항
4. 졸업생의 진로는 어떠한가
5. 최근 학생의 혁명운동 및 일본인의 심한 탄압의 참상
제3장 다른 민족 전제 아래의 경제적 파멸
1. 한국 경제의 일반적인 상황
2. 한국의 인구 문제
3. 토지 겸병의 위기
4. 지주의 몰락과 농노의 급격한 증가
5. 한국인 쇠락의 실제 상황
제4장 한국 혁명의 역사적 토대
1. 인민 기본 권리의 불평등
2. 인민 생활 권리의 불평등
3. 인민의 배울 권리의 불평등
4. 망국조약의 연혁
제5장 한국 혁명운동의 체계
1. 총서
2. 제5차 혁명 이후 각 방면 활동의 대략적 상황
제6장 광주혁명의 진상
1. 광주의 역사적 지위
2. 광주혁명 발생 이전 전국의 불안정한 상태
3. 광주혁명 폭발의 진상
4. 경성 제1차 시위
5. 경성 제2차 시위
6. 여자 시위운동의 예비 대표회의
소앙집 하편
일본의 동성 점거에 대해 중국 당국에 보내는 편지
중국 각계에 보내는 전보
일본의 죄악을 널리 알리려 중국에 보내는 전보
《상하이주간》 사설
중국 각계에 삼가 알림
《한보특간》 간행사
화교 사상자 발생 사건에 대한 한국 상하이임시정부 외무장의 성명서
한국 내 화교 사상자 발생 사건에 대한 선언
한국독립당 선언
성명서
동삼성의 한국 교민 문제
한국독립당의 근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