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주자, 이탁오, 퇴계의 경전주석학을 통해, 이들이 느꼈던 시대적 책무와 정신의 향방을 고찰했다. 그들이 살았던 시대가 다르고 활동한 공간이 달랐기 때문에 이들의 경학 색채도 서로 다르다.
목차
머리말
1장 서론
2장 경과 전, 그리고 유학과 경학
Ⅰ. 경(經)과 전(傳)
1. 경(經)이란 무엇인가?
2. 전(傳)이란 무엇인가?
Ⅱ. 유학과 경학
1. 유학과 경학의 상호 조응
2. 주자 이전의 천상탄(川上嘆) 해석
3. 주자와 왕양명의 형이상학적 해석
4. 주자 이후 한중일 경학가의 탈주자학적 해석
3장 중국의 논어학
Ⅰ. 주자의 논어학
1. 『논어집주』의 성서(成書) 과정
2. 『논어집주』의 주석 방식과 경학사적 계승
Ⅱ. 양명학파의 논어학
1. 이탁오의 논어학
2. 장대의 논어학
Ⅲ. 유불교섭의 논어학
1. 유(儒)에서 불(佛)로
2. 불(佛)에서 유(儒)로
3. 유불교섭과 양명학파 경학
4장 조선의 논어학
Ⅰ. 조선 논어학의 전개와 회집
1. 조선 논어학의 전개
2. 조선 논어학의 회집
Ⅱ. 퇴계학파의 논어학
1. 퇴계의 논어학
2. 정구의 논어학
3. 이진상의 논어학
4. 곽종석의 논어학
Ⅲ. 실학파의 논어학
1. 이익의 논어학
2. 조선 경학사적 맥락에서 살펴본 실학파 경학
3. 조선 경학에서 고(古)의 지향
5장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