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1부 여성, 종교개혁과 직면하다
1장 마리 당티에르, 앞장서다
1. “읽고 판단하라”
2. 투르네의 수녀원에서 주네브주네브의 선술집까지 : 마리 당티에르의 생애
3. 『편지』를 통해 본 마리 당티에르의 종교개혁
4. ‘비천한 사람들을 통해 드러나는 진실’
5. 영적 자유를 향하여
2장. 잔 드 쥐시, 저항하다
1. 수녀원, 그 이중적 공간
2. 잔 드 쥐시와 성 클라라 수녀원
3. 잔 드 쥐시의 『연대기』와 여성의 역사 서술
4. 수녀의 눈으로 본 종교개혁
5. 마리 당티에르와 잔 드 쥐시: 차이점과 공통점
2부 종교개혁과 새로운 가정
3장. 주네브 여성들, 이혼하다
1. 종교개혁, 이혼제도를 도입하다
2. 16세기 주네브의 이혼 사유와 절차
3. 1550년 컨시스토리 회의록 분석
4. 1555년 컨시스토리 회의록 분석
5. 이혼의 세 얼굴
4장. 샤를로트 아르발레스트, 전위에 서다
1. 『모르네모르네 부인의 회고록』
2. 생 바르텔르미 대학살과 위그노 정체성의 형성
3. 아르발레스트와 새로운 가정
4. 동지적 부부애의 실천 : 퐁텐블로 논쟁
5. 또 다른 아르발레스트를 기다리며
3부 16세기 여성이 역사에 이름을 남기는 법
5장. 왕비 마르고, 역사와 기억 사이
1. ‘왕비 마르고’의 탄생
2. 마르그리트 드 발루아의 생애
3. 발루아의 진주에서 정욕의 화신으로: 동시대인이 본 마르그리트 드 발루아
4. 흑색 전설의 성장과 계승: 17-19세기 마르그리트 드 발루아에 대한 인식 변화
5. ‘타자’의 이름
6장. 마르그리트 드 발루아, 가면과 실체 사이
1. 가면무도회
2. 마르그리트 드 발루아 『회고록』의 내용 및 쟁점들
3. ‘성적 명성’의 관리
4. 새로운 연대의 창출
5. 특별한 만큼 평범한
에필로그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