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국진출기업의 노무관리 Q&A = 中國進出企業的勞務管理 Q&A
발행연도 - 2019 / 저자: 윤수종 / 세창출판사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444913
-
ISBN
9788984117990
-
형태
381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사회과학
>
경제학
>
경영
-
카테고리분류
경제/경영
>
경영
>
조직/인력/성과관리
책소개
외국계 현지법인이 직면하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해서 중국노동법무 최전선에서 많은 사례를 접해 온 저자가 그간의 실무경험상 흔히 있는 노무상담사례를 Q&A형태로 구체적이고 간결하게 정리한 책이다.
목차
본서에서 인용한 관련 법률법규 약어·설명
제1부 중국 노동법무 입문
Ⅰ. 노동관련법규
Ⅱ. 외국계기업의 노사관계 특징
Ⅲ. 외국계기업 인사·노무관리 포인트
제2부 중국진출기업의 노무상담사례 해설
제1장 노동계약의 체결
Q 1-1 노동계약의 종류
Q 1-2 고정기간노동계약의 기간설정과 기간연장 여부
Q 1-3 서면노동계약 체결시기
Q 1-4 기간만료 후에 노동계약을 갱신하지 않을 경우
Q 1-5 무고정기간노동계약을 체결하지 않을 경우
Q 1-6 서면노동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경우의 보충체결
Q 1-7 타인이 대리서명한 노동계약은 유효한가?
Q 1-8 입사등록표 등의 서류는 노동계약에 해당하는가?
Q 1-9 ‘2배임금’의 계산기수
Q 1-10 ‘2배임금’의 중재시효 계산
Q 1-11 노동관계 성립일
제2장 시용기간
Q 2-1 법정시용기간을 초과해 설정한 경우
Q 2-2 시용기간은 연장 가능한가?
Q 2-3 시용기간 중 노동계약 해제요건
Q 2-4 시용기간 중 의료기간 처리
Q 2-5 시용기간 중 여직원 임신
제3장 노동보수와 복리처우
Q 3-1 월 임금의 지급기한
Q 3-2 최저임금기준에는 노동자개인이 납부해야 할 사회보험 및 주택적립금이 포함되는가?
Q 3-3 지급기한을 넘긴 노동보수의 지급과 노동보수 지급거부
Q 3-4 노동보수지급거부죄의 입건기준
Q 3-5 사용자에 의한 노동보수지급의무 불이행 시 노동자의 직접제소권
Q 3-6 월임금에 시간외근무수당이 포함된다는 약정은 유효한가?
Q 3-7 시간외근무수당의 계산기수, 계산방법과 중재시효
Q 3-8 업무정지·가동정지기간의 임금지급
Q 3-9 태풍 등 기상이변에 기인한 휴가기간 중 임금지급과 근무일대체
Q 3-10 노동자에 의한 연말상여금 지급청구권
Q 3-11 월임금 등의 감액여부
참고자료 중국 주요도시 최저임금기준
제4장 유급휴가
Q 4-1 유급휴가 취득요건 및 일수
Q 4-2 미사용분 연차유급휴가의 금전보상과 중재시효
Q 4-3 출산휴가기간 중 여직원의 유급휴가
제5장 의료기간
Q 5-1 의료기간의 계산
Q 5-2 의료기간 중 임금
Q 5-3 의료기간 중 노동계약기간만료
제6장 산업재해
Q 6-1 출퇴근 중 업무상 원인으로 타인에게 폭행을 당해 다친 경우
Q 6-2 노동자가 외출활동에 참여해 다친 경우
Q 6-3 노동자가 출퇴근길 교통사고 등으로 다친 경우
Q 6-4 퇴직 전 직업건강진단을 받지 않고 퇴직 후 직업병을 발견한 경우
Q 6-5 ‘직원과실로 인한 산재책임은 직원본인이 진다’는 약정은 유효한가?
Q 6-6 “사용자가 노동자에게 일정한 합의금을 지급한 후 발생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일절 책임을 지지 않는다”라는 약정은 유효한가?
Q 6-7 상업보험에 가입한 경우 산재관련배상책임의 면제
제7장 여직원
Q 7-1 출산휴가일수
Q 7-2 출산휴가기간 중 임금
Q 7-3 여직원 임신, 출산, 수유기간 중 노동계약기간 만료
Q 7-4 계획생육정책위반출산 시 출산휴가와 출산수당 지급여부
Q 7-5 임신 중 유산·조산예방을 위한 휴가취득 시 임금
참고자료 중국 각 지역의 출산휴가일수
제8장 노동조합
Q 8-1 사용자에 의한 노동계약해제 시 사전통지의무
Q 8-2 노조위원장을 겸임하는 노동자의 해고
Q 8-3 집단계약이행 시 노동조합의 역할
제9장 노동계약 종료, 해제와 보상금
Q 9-1 노동계약 종료
Q 9-2 사용자의 노동계약 해제권
Q 9-3 노동자의 노동계약 해제권
Q 9-4 경제보상금 지급책임
Q 9-5 경제보상금 계산방법
Q 9-6 노동계약미체결책임이 노동자에게 있는 경우 사용자의 지급책임
Q 9-7 그룹사 간 통합대상사업부문 재직노동자의 경제보상금청구권
Q 9-8 흡수합병대상회사 노동자의 경제보상금청구권
Q 9-9 고용시작 전의 노동계약해제
Q 9-10 형사책임을 추궁당한 경우의 노동계약해제
Q 9-11 사회보험에 가입하지 않는다고 스스로 요구한 노동자의 노동계약해제권과 경제보상금청구권
Q 9-12 영업비밀누설과 경업비즈니스의 방지방법
Q 9-13 경업금지의무에 기인하는 경제적 보상과 그 지급기준
참고자료 중국 각지의 경업금지의 경제적 보상기준
제10장 노무파견
Q 10-1 노무파견제도 개요
Q 10-2 노무파견사업주 및 사용사업주의 의무와 책임
Q 10-3 파견노동자를 되돌려보내는 사유
Q 10-4 노무파견과 제조도급의 차이
제11장 실무상 자주 있는 기타 노무상담사례
Q 11-1 사내규칙제도 제정 시 주의사항
Q 11-2 사용자에 의한 근무부서와 월임금의 조정권
Q 11-3 의무근무기간의 약정요건
Q 11-4 파트타임직원 고용의 법적 리스크
Q 11-5 노동시간 내의 휴식시간을 노동시간에 포함 가능한가?
Q 11-6 미성년노동자의 특별보호
Q 11-7 사용자와 정년퇴직연령에 달한 노동자의 관계
Q 11-8 사용자와 외국인, 대만·홍콩·마카오 노동자의 관계
Q 11-9 중재판단이 최종판단으로 되는 노동분쟁
Q 11-10 노동분쟁의 해결수단
참고자료
중국의 노동중재 흐름
중국의 재판심리 흐름
제12장 외국인의 중국 내 취업
Q 12-1 새로운 외국인취업허가제도와 최신실무
Q 12-2 외국인 단기취업비자
참고자료 외국인취업허가취득절차 전 확인사항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