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는 어떻게 한국사와 맞닿아 있는가, 개념과 주제로 겹쳐 읽는 한국사X세계사. 역사를 보는 관점만큼이나, 역사를 엮는 주제와 기준도 너무나 다양하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그 도구들을 이용해 역사를 읽고 쓰는 것이다.
목차
책머리에
1부 민주주의와 인권 1장 민주주의는 보편적인 정치 원리인가? 2장 고대 민주주의의 조건 3장 혼란에 빠진 고대 민주주의 4장 왜 모든 인간이 평등한가? 5장 동양 전제주의를 향한 오해 6장 인권이라는 개념의 탄생 7장 자유주의와 민주주의, 대립과 공존 8장 한국이 경험한 민주주의 9장 맺음말
2부 세계화와 자본주의 1장 세계화와 자본주의는 한 몸 2장 세계화 이전의 세계화? 3장 바다로 나아가는 유럽 4장 폭력의 세계화, 노예 무역 5장 자본주의의 탄생 조건 6장 자본주의 산업화와 ‘대분기’ 7장 자본주의가 이루어 낸 19세기 세계화 8장 세계화의 재구성 9장 자본주의의 미래는 있을까? 10장 맺음말
3부 제국과 민족주의 1장 국가들은 서로 평등할까? 2장 제국의 정체 3장 부를 추구하는 제국 4장 쉽고도 간편한 침략 5장 오만한 문명화 6장 제국과 협력자 7장 국민, 그리고 민족 8장 밝고도 어두운 민족주의 9장 맺음말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카페에서 읽는 세계사2016 / 구정은, 남지원, 장은교 [공]지음 / 인물과사상사
역사가 기억하는 1,2차 세계대전 : 1914년부터 1945년까지2013 / 궈팡 편저 ; 송은진 옮김 / 꾸벅
길고 짧은 건 대 봐야 아는 법 : 고대 그리스부터 현대 대한민국까지, 재판으로 보는 세계사2019 / 지음: 권재원 / 서유재
기묘한 밤 : 문명이 풀지 못한 미스터리를 읽는 밤 2024 / 지음: 기묘한 밤 / 교보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