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왜 이 책인가
들어가며 역사 속의 병역거부
1부 함께 활동하기
1. 왜 젠더가 중요할까
2. 여성과 병역거부: 페르다의 이야기
3. 인종: 그렉 페이튼과의 인터뷰
4. 계급과 사회 경제적 배경: 노암 구르와의 인터뷰
5. 특권과 차이 속에서 활동하기
6. 다양한 동기
7. 합의에 의한 의사 결정
2부 운동 전략
8. 병역거부자들의 후원 조직하기
9. 국제 연대
10. 국제법상의 병역거부
11. 국제 인권 기제의 국내 적용 사례: 콜롬비아
12. 전시戰時 병역거부자와 탈영병 지원
13. 국외 도주 전시戰時 병역거부자와 탈영병 지원
14. 반군사주의 평화 운동에서 제대 군인의 역할
15. 민간 대체복무: 핀란드의 완전거부와 대체복무
16. 민간 대체복무: 러시아의 대체복무 캠페인
17. 민간 대체복무: 독일의 교훈으로 본 탈정치화의 위험
18. 징병제, 그 후
3부 병역거부의 확장
19. 급진적 사회 변화의 발판으로서의 병역거부
20. 한국의 군사주의에 균열을 일으켜온 병역거부
21. 터키의 군사주의와 젠더
22. 터키의 병역거부 운동에서 LGBT 및 여성 병역거부자의 역할
23. 장애와 징병: 남성성, 장애 차별 그리고 군사화된 몸
24. 이스라엘의 양심적 병역거부: 주인의 도구로 주인의 집을 허물 것인가?
25. 군대를 넘어서
26. 21세기의 전쟁 수혜자
27. 전쟁세 거부: 스페인의 군비 지출에 대한 납세 거부
28. 대안 만들기
29. 전쟁에 저항하는 공동체
30. 범죄조직의 ‘모병’에 저항하기
옮긴이 후기 한국의 병역거부 운동이 스스로에게 던진 질문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