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착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본서에서는 유학의 정체성을 소통과 융합에 있음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유학의 정체성을 도덕철학으로만 규정짓는 것에는 반대하면서, 유학의 도덕철학은 소통이라는 문화적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전통과 현실의 사이에서

제1부 유학과 현대의 소통
제1장 근대, 탈현대 그리고 유학
1. 유교문화의 이중적 의미
2. 천명(天命)에서 개인주체로
3. 획일성에서 차이성으로
4. 차이성에서 소통이성으로ㅇ
5. 유학의 보편성은 소통이성이다
제2장 유학의 ‘사이[際]’윤리학
1. 도덕주체에서 ‘사이’윤리로
2. ‘사이’의 존재 방식: 인(仁)과 예(禮)
3. 동정심: 측은(惻隱)
4. 공감: 서(恕)
5. 측은(惻隱)과 서(恕)
6. 인(仁): 연극적 자아
제3장 유학의 문화치료
1. 한국의 사회병리현상과 유학적 치료
2. 사회병리현상: 폐쇄적 연고 집단
3. 참자아[眞我]의 소외
4. 소통 본성의 회복
5. 폐쇄적 사회에서 소통적 사회로

제2부 유학과 자아와의 소통
제4장 인성교육: 도덕적 치유
1. 학습주체로 돌아가자
2. 도덕교육과 치유의 융합
3. 유학의 도덕적 치유
4. 도덕적 치유 방법
5. 인성교육에서 유학의 중요성
제5장 마음치유와 도덕교육
1. 대안적 도덕교육과 마음치료
2. ‘심병(心病)’과 도덕교육
3. ‘병통(病痛)’에 대한 진단
4. 상담방법: 인격상담
5. 상담내용: 경(敬)공부
6. 퇴계의 상담치료와 도덕교육
제6장 여가활동과 도덕교육
1. 여가활동과 도덕교육의 접점
2. 퇴계의 ‘경(敬)공부’와 도덕교육
3. 등산을 통한 도덕생태교육
4. 투호를 통한 도덕교육
5. 여가행위를 통한 도덕교육의 필요성

제3부 유학과 사회과학의 소통
제7장 주자학적 시민사회
1. 동북아 시민사회의 필요성과 접근방법
2. 주자학에서의 국가와 공공영역
3. 의사소통행위의 절차성과 정당성
4. 공공영역의 개체성과 공공성
5. 현대사회에서 주자학적 공론
제8장 순자의 사회적 경제와 윤리
1. 자본주의 경제와 순자의 경제사상
2. 순자철학에서 경제적 합리성과 그 한계
3. ‘명분사군(明分使群)’의 사회적 경제
4. 경제와 윤리의 융합
5. 순자의 ‘예의(禮義)’와 자본주의 경제
제9장 유교형 사회적 기업
1. 한국형 사회적 기업의 필요성
2. 주자의 사창제와 사회복지
3. 조화와 신뢰의 사회적 경제
4. 한국형 사회적 기업

제4부 유학과 타문명의 대화
제10장 한국적 유학: ‘얼’유학
1. 유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2. 다카하시 도루(高橋亨)의 민족성 비판
3. 신채호의 유학 비판
4. 정인보 ‘얼’사관과 유학의 융합: ‘얼유학(儒學)’
5. 정인보 ‘얼유학(儒學)’의 비판적 계승
제11장 안동지역의 선비-기독교
1. 선비와 기독교의 만남
2. 안동지역 초기 기독교의 특징
3. 유림의 기독교 개종
4. 안동지역의 선비-기독교
5. 기독교의 선비정신
제12장 유학과 이슬람의 융합
1. 주자학과 이슬람의 만남
2. 유학-이슬람의 탄생
3. 이슬람의 인륜적 해석
4. 유학의 종교화
5. 유학과 이슬람의 융합
6. 도덕과 종교의 융합

제5부 유학과 자연과학의 만남
제13장유학과 사회생물학의 대화
1. 유학과 사회생물학의 만남
2. 사회생물학에서의 도덕의 기원과 정당성
3. 유학과 사회생물학의 공통적 기반
4. 사회생물학의 도덕적 정당화
5. 유학과 사회생물학의 상호보완
제14장주자학의 생태윤리
1. 주자학적 생태윤리 모색
2. ‘생태윤리’의 이론 정립 가능성
3. 생태윤리 ‘주체성’ 정립
4. 주자 공부론과 생태윤리교육
5. 주자의 생태윤리의 가능성

찾아보기
출전일람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고대 중국의 정치사상 고대 중국의 정치사상 2018 / 지음: 조원일 /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천천히 걸으며 제자백가를 만나다 천천히 걸으며 제자백가를 만나다 2013 / 채한수 지음 / 김영사
천천히 걸으며 제자백가를 만나다 천천히 걸으며 제자백가를 만나다 2013 / 채한수 지음 / 김영사
사상문  : 한 낭인의 제자백가 무차별 섭렵기 사상문 : 한 낭인의 제자백가 무차별 섭렵기 2016 / 지음: 황젠 ; 옮김: 조성환 / 글항아리
공자 & 맹자  : 유학의 변신은 무죄 공자 & 맹자 : 유학의 변신은 무죄 2013 / 강신주 지음 / 김영사
공자 & 맹자  : 유학의 변신은 무죄 공자 & 맹자 : 유학의 변신은 무죄 2013 / 강신주 지음 / 김영사
중국유학의 정신 중국유학의 정신 2021 / 지음: 郭齊勇; 옮김: 고성애 / 예문서원
유학의 소통과 융합 : '화이부동'의 현대적 해석 유학의 소통과 융합 : '화이부동'의 현대적 해석 2017 / 지은이: 권상우 / 문사철
(갑골문 청동문 죽간으로 밝혀낸) 유교 탄생의 비밀 (갑골문 청동문 죽간으로 밝혀낸) 유교 탄생의 비밀 2013 / 김경일 지음 / 바다출판사
(중국을 이해하는) 중국유학사  : 인간의 근본을 논한 儒學 (중국을 이해하는) 중국유학사 : 인간의 근본을 논한 儒學 2016 / 편역: 김동휘 / 신원문화사
유가 전통과 과학 유가 전통과 과학 2013 / 김영식 지음 / 예문서원
中國 道統 人物論 中國 道統 人物論 2013 / 저: 김정기 / 책사랑
보편 철학으로서의 유학  : 유학은 무엇을 말하려고 했는가 보편 철학으로서의 유학 : 유학은 무엇을 말하려고 했는가 2016 / 지음: 나성 / 이학사
유학의 갈림길 유학의 갈림길 2006 / 데이비드 S. 니비슨 지음 ; 김민철 옮김 / 철학과현실사
유가 인간학 : 어진 사람은 적이 없다 유가 인간학 : 어진 사람은 적이 없다 2008 / 렁청진 지음 ; 김태성 옮김 / 21세기북스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노자 혹은 장자 : 노자의 길과 장자의 길 사이에서 노자 혹은 장자 : 노자의 길과 장자의 길 사이에서 2014 / 지음: 강신주 / 오월의봄
생각하는 힘 노자 인문학 : EBS [인문학 특강] 최진석 교수의 노자 강의 생각하는 힘 노자 인문학 : EBS [인문학 특강] 최진석 교수의 노자 강의 2015 / 최진석 지음 / 위즈덤하우스
(나의 동양고전 독법) 강의 (나의 동양고전 독법) 강의 2016 / 지음: 신영복 / 돌베게
맹자  : 바른 정치가 인간을 바로 세운다  = Mencius : moral politics makes moral people 맹자 : 바른 정치가 인간을 바로 세운다 = Mencius : moral politics makes moral people 2010 / 장현근 지음 / 한길사
한비자 : 제왕학과 법치의 고전 한비자 : 제왕학과 법치의 고전 2019 / 지음: 한비자 ; 옮김: 김원중 / 휴머니스트
천천히 걸으며 제자백가를 만나다 천천히 걸으며 제자백가를 만나다 2013 / 채한수 지음 / 김영사
묵자 읽기 묵자 읽기 2014 / 지음: 박문현 / 세창미디어
장자처럼 살라, 깨어 있자, 시대에 저항해 자유를 선택했던 뜨거운 장자처럼 장자처럼 살라, 깨어 있자, 시대에 저항해 자유를 선택했던 뜨거운 장자처럼 2014 / 박홍순 지음 / 한빛비즈
맹자, 마음의 정치학. 3 맹자, 마음의 정치학. 3 2019 / 지음: 배병삼 / 사계절
더 패스(The Path) : 세상을 바라보는 혁신적 생각 더 패스(The Path) : 세상을 바라보는 혁신적 생각 2016 / 마이클 푸엣 ; 크리스틴 그로스 로 [공]지음 ; 이창신 옮김 / 김영사
장자: 너는 자연 그대로 아름답다 장자: 너는 자연 그대로 아름답다 2016 / 지음: 양승권 / 한길사
한비자 정독 : 청고고아한 문자의 향기를 찾아서 한비자 정독 : 청고고아한 문자의 향기를 찾아서 2014 / 김예호 역주 / 삼양미디어
맹자, 정치를 말하다 맹자, 정치를 말하다 2013 / 이민홍 지음 /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망각과 자유 : 장자 읽기의 즐거움 망각과 자유 : 장자 읽기의 즐거움 2014 / 강신주 지음 / 갈라파고스
당당한 염세주의자 : 흔들리는 세상에서 나를 지키는 마지막 태도 당당한 염세주의자 : 흔들리는 세상에서 나를 지키는 마지막 태도 2019 / 지음: 염세철학가, 옮김: 차혜정 / 나무의철학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