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루쉰과 동아시아 근대 : 루쉰을 따라가는 동아시아 사상의 여정
발행연도 - 2018 / 지음: 서광덕 / 산지니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439656
-
ISBN
9788965455110
-
형태
375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철학
>
동양철학, 사상
>
-
카테고리분류
인문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책소개
최근 루쉰 전집 20권이 완간되면서 국내에서도 루쉰의 사유를 폭넓게 접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동아시아적 시각에서 루쉰을 독해하고, 루쉰을 거점으로 동아시아의 미래를 조망하는 이 책은 루쉰 읽기의 중요성과 더불어 어떻게 루쉰을 읽을 것인가에 대한 또 하나의 방법을 제시해준다.
목차
책을 펴내며
여는 글
1부 ‘루쉰’이란 사상: 동아시아 근대사상의 계보학
1장 동아시아에서의 루쉰 번역
1.1 전전(戰前)의 루쉰 수용
1.2 전후(戰後)의 루쉰 수용
2장 다케우치 요시미(竹內好)의 루쉰론
2.1 현대 중국에 대한 관심
2.2 현대 중국 연구의 시작
2.3 『루쉰』의 탄생
3장 루쉰과 마오쩌둥(毛澤東)
3.1 개혁개방 이후 루쉰 평가
3.2 사회주의 중국과 루쉰
3.3 마오쩌둥 사상과 루쉰
4장 한국의 루쉰 수용과 연구
4.1 한국에서 루쉰 작품의 번역과 연구
4.2 한국근대사상사에서 루쉰의 그림자
2부 루쉰 안의 ‘근대’: 반근대와 근대
5장 청년 루쉰이 본 서구 근대
5.1 서구 근대의 양면(兩面)
5.2 입인(立人)을 향해: 니체, 문학, 신화
6장 루쉰의 국민국가 비판: 악성 타파 1
6.1 반(反)‘국민 만들기’
6.2 반(反)‘세계인이 되라’
6.3 지식인과 대중의 관계
6.4 계몽의 의미
7장 루쉰의 문명 비판: 악성 타파 2
7.1 오사 전후의 ‘악성 타파’
7.2 1927년 이후 루쉰의 ‘악성 타파’
8장 번역하는 루쉰
8.1 왜 ‘근대 초기’인가?
8.2 루쉰에게 번역의 의미
8.3 루쉰 번역의 줄기: 러시아 문예의 수용
9장 루쉰의 문론(文論): 문학과 정치
9.1 문학론: 용(用)과 무용(無用)
9.2 창작론: 소설과 잡문
9.3 ‘사상’의 원점
맺는 글: 루쉰의 미래성(동아시아 시민의 형성)
저자 후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