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시기 한국의 철학, 종교, 예술, 과학 등 여러 문화요소들의 역사를 연구하면서 접하게 되는 문제 한 가지가 ‘한국사에서의 중국의 문제’이다. 전통 시기 한국의 사상, 기물, 실행 등 많은 것들이 중국의 것이거나 중국에서 기원한 것이며, 때로는 중국의 것들과 완전히 같은 모습을 보인다.
목차
머리말
제1부 중국 인식의 전개 1장 중화 사상 2장 대명의리 3장 청에 대한 무정적 태도 4장 주자 정통론의 심화 5장 '소중화', '조선중화' 6장 기자, 단군과 고구려, 발해: 고대사의 재인식 7장 조선인으로서의 자의식과 자부심 8장 '북학' 9장 청 중심의 질서 수용
제2부 중화 사상의 재조명 10장 문화로서의 중화와 '중화' 관념의 상대화 11장 중화 사상의 폭과 유연함
제3부 구체적 사례들 12장 '주변부' 조선 사인들과 '중심' 중국 사인들 13장 중국을 통한 서양 과학 도입과 '서학중원론' 14장 중국으로부터의 전래: 시간지연, 변형 및 왜곡 15장 조선의 역서와 중국의 역법: '주국력?'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조선시대 경상도의 권력 중심 이동 : 영남농법과 한국형 지역개발2012 / 김성우 지음 / 태학사
대비, 왕 위의 여자 : 왕권을 뒤흔든 조선 최고의 여성 권력자 4인을 말하다2014 / 김수지 지음 / 인문서원
대비, 왕 위의 여자 : 왕권을 뒤흔든 조선 최고의 여성 권력자 4인을 말하다2014 / 김수지 지음 / 인문서원
다산과 추사를 따라간 유배길 : 다산과 추사가 살아낸 유배생활 그 고단한 삶의 교집합을 탐구하다2019 / 지음: 김영환 / 호밀밭
조선 지식인의 위선2011 / 김연수 지음 / 앨피
조선의 괴짜 선비들 : 오늘, 그들의 선비정신이 그립다2013 / 김영진 엮음 / 태평양저널
조선의 괴짜 선비들 : 오늘, 그들의 선비정신이 그립다2013 / 김영진 엮음 / 태평양저널
중국과 조선, 그리고 중화 : 조선 후기 중국 인식의 전개와 중화 사상의 굴절2018 / 지음: 김영식 / 아카넷
세계사와 통하는 매운맛 조선사: 33가지 질문으로 파헤쳐본 조선의 빛과 그늘2022 / 지음: 김용남 / 바틀비
조선이 가지 않은 길 : 20가지 키워드로 살펴본 조선의 선택2017 / 지음: 김용만 / 창해
내가 그다, : 1인칭으로 읽는 조선 역사2019 / 지음: 김응규 / 생각나눔
(하찮으나 존엄한)조선의 9급 관원들2011 / 김인호 지음 / 너머북스
(하찮으나 존엄한)조선의 9급 관원들2011 / 김인호 지음 / 너머북스
1만 1천 권의 조선 : 타인의 시선으로 기록한 조선, 그 너머의 이야기 2022 / 지음: 김인숙 / 은행나무
1만 1천 권의 조선 : 타인의 시선으로 기록한 조선, 그 너머의 이야기 2022 / 지음: 김인숙 / 은행나무
같이 빌린 책
조선과 중화 : 조선이 꿈꾸고 상상한 세계와 문명2014 / 배우성 지음 / 돌베개
한국무역의 역사2010 / 최광식...[등]지음 / 청아출판사
같은 주제의 책
이이화 한국사 이야기. 22, 빼앗긴 들에 부는 근대화 바람2016 / 이이화 지음 / 한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