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성룡과 그의 사상이 임진왜란과 <징비록>을 통해 단편적으로만 알려진 것을 안타깝게 여긴 저자가 <징비록>뿐만 아니라 <근폭집>, <진사록>, <군문등록> 등 류성룡이 남긴 저서와 기록들을 모두 분석함으로써 그의 삶과 정신이 지닌 의미를 온전히 드러낸다.
목차
머리말 징비, 삶을 지키는 바탕
1부 서애의 삶을 관통하는 힘, 징비력 1. 서애 정신, 징비력 2. 《징비록》의 두 가지 의미 3. 《징비록》 자서의 분석 4. 인의 태도로서 징비
2부 징비력의 10가지 요소 1. 공분: 삶을 파괴하는 침략전쟁에 대한 강렬한 분노 2. 반구: 우리 자신의 부족함을 냉철하게 반성하며 개선 3. 실질: 현실을 직시하면서 실용적으로 문제를 해결 4. 득인: 오직 능력을 기준으로 임무의 적임자를 구함 5. 득심: 어려움을 이겨 내는 근본적인 힘으로서 민심 6. 진심: 각자 맡은 일에 한결같이 정성을 쏟는 자세 7. 원려: 앞날을 준비하면서 지금의 어려움을 이겨냄 8. 생민: 개인과 공동체의 삶을 보듬고 지키는 노력 9. 수신: 올바른 인격과 세상을 추구하는 주체적인 공부 10. 초연: 불완전한 현실에 유연하게 맞서고 넘어서는 정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