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산업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유선/무선 통신 방식들을 구분하여 그 원리를 이해하고, 통신을 이용한 기기 간의 연결을 구현하기 위한 기초 프로그래밍 방법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목차
PART 1 Serial 통신 Interface 1.1 기본 이론 1.1.1 RS-232, RS-422, RS-485 1.1.2 시리얼 통신의 기본 1.1.3 RS-232 1.1.4 RS-422 1.1.5 RS-485 1.2 RS-232 통신 실습 1.2.1 프로그램 Source 1.2.2 송/수신 통신 실행
PART 2 USB Interface 2.1 기본 이론 2.1.1 USB의 개요 2.1.2 USB의 구성 2.1.3 USB 속도 2.1.4 USB 3.0 2.1.5 USB 단자 종류 2.1.6 USB 기본 단자 구조 2.2 USB 통신 실습 2.2.1 프로그램 Source 2.2.2 송/수신 통신 실행
PART 3 Ethernet(TCP/IP) Interface 3.1 기본 이론 3.1.1 Ethernet의 개요 3.1.2 인터넷과 TCP/IP 3.1.3 통신 프로토콜 3.1.4 IP 주소의 이해 3.2 Ethernet 통신 실습 3.2.1 프로그램 Source 3.2.2 송/수신 통신 실행
PART 4 CAN Interface 4.1 기본 이론 4.1.1 CAN의 개요 4.1.2 CAN 통신의 특징 4.1.3 CAN 통신의 단일배선 적응 능력 4.1.4 CAN 물리 계층 4.1.5 CAN 관련 용어 4.1.6 CAN 통신 방법 4.2 CAN 통신 실습 4.2.1 프로그램 Source 4.2.2 송/수신 통신 실행
PART 5 WIFI Interface 5.1 기본 이론 5.1.1 WIFI란 5.1.2 사용 형태에 따른 와이파이의 모드 구분 5.1.3 사용 범위에 제한 있지만 비용 적게 들고 속도 빨라 5.1.4 a, b, g, n 등 다양한 버전 존재 5.1.3 사용 편리하지만 보안상의 위험도 상존 5.2 WiFi 통신 실습 5.2.1 프로그램 Source 5.2.2 송/수신 통신 실행
PART 6 Bluetooth Interface 6.1 기본 이론 6.1.1 블루투스(Bluetooth) 개요 6.1.2 블루투스(Bluetooth)의 어원 6.1.3 블루투스 규격 6.1.4 블루투스의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 6.2 Bluetooth 통신 실습 6.2.1 프로그램 Source 6.2.2 송/수신 통신 실행
PART 7 LoRa Interface 7.1 기본 이론 7.1.1 LoRa의 개요 7.1.2 LoRaWAN의 특징 7.1.3 LoRaWAN 7.1.4 클라우드 환경의 LoRaWAN 구조 7.2 LoRa 통신 실습 7.2.1 프로그램 Source 7.2.2 송/수신 통신 실행
PART 8 NFC Interface 8.1 기본 이론 8.1.1 NFC 개념 8.1.2 NFC 활용 분야 8.1.3 NFC 동작 모드 8.2 NFC 통신 실습 8.2.1 프로그램 Source 8.2.2 송/수신 통신 실행
PART 9 IrDA Interface 9.1 기본 이론 9.1.1 IrDA의 개요 9.1.2 IrDA의 통신 방법 9.1.3 IrDA의 표준화 9.1.4 IrDA의 장단점 9.2 IrDA 통신 실습 9.2.1 프로그램 Source 9.2.2 송/수신 통신 실행
PART 10 RF-433 Interface 10.1 기본 이론 10.1.1 RF(Radio Frequency) 개요 10.1.2 주파수(Frequency) 10.1.3 대역폭(Bandwidth) 10.1.4 무선 통신(Wireless communication) 10.1.5 주파수 분류 10.1.6 DASH7(433MHz) 10.2 RF-433 통신 실습 10.2.1 프로그램 Source 10.3 송/수신 통신 실행
서가브라우징
Network Warrior : 완벽한 네트워크 인프라를 위한 실용 지침서2009 / 게리 A. 도나휴 지음 ; 최용호 옮김 / ITC(아이티씨)
(명쾌한 설명과 풍부한 그림으로 배우는) TCP/IP 쉽게, 더 쉽게2016 / 리브로웍스 지음 ; 신상재 옮김 / Jpub(제이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