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총설
1. 동양조경문화사의 범위
2. 자연환경
3. 문화적 배경
참고 및 인용문헌
제2부 한국의 조경문화
제1장 선사 및 고대시대
1. 선사시대
2. 고조선시대
3. 고구려시대
4. 백제시대
5. 발해시대
6. 신라시대
7. 통일신라시대
제2장 고려시대
1. 시대 개관
2. 도성과 궁궐
3. 민가
4. 사찰
제3장 조선시대
1. 시대 개관
2. 궁궐
3. 읍성
4. 객사
5. 왕릉
6. 사찰
7. 전통마을과 주택
8. 별서
9. 누(樓)·정(亭)·대(臺)
10. 마을숲
11. 명승
12. 서원
참고 및 인용문헌
제3부 중국의 조경문화
제1장 시대 개관
제2장 은·주시대
1. 개관
2. 은·주시대 원림의 특징
제3장 진·한시대
1. 개관
2. 진·한시대 원림의 특징
제4장 위·진·남북조시대
1. 개관
2. 위·진·남북조시대 원림의 특징
3. 대표 원림
제5장 수·당시대
1. 개관
2. 수·당시대 원림의 특징
제6장 송시대
1. 개관
2. 송시대 원림의 특징
3. 대표 원림
제7장 금·원시대
1. 개관
2. 금·원시대 원림의 특징
3. 원의 대표 원림
제8장 명시대
1. 개관
2. 명시대 원림의 특징
3. 대표 원림
제9장 청시대
1. 개관
2. 청시대 원림의 특징
3. 대표 원림
참고 및 인용문헌
제4부 일본의 조경문화
제1장 시대 개관
제2장 상고시대
1. 개관
2. 원시시대
3. 비조(飛鳥 아스카, AD 592~707년)시대
4. 나양(奈良 나라, 708~781년)시대
제3장 평안시대
1. 개관
2. 평안(헤이안)시대 초기
3. 평안(헤이안)시대 중기
4. 평안(헤이안)시대 말기
제4장 겸창시대
1. 개관
2. 침전조정원의 계속
3. 막부와 무사들의 정원
4. 선종사찰의 정원
5. 몽창소석(夢窓漱石 무소 소세키)의 조경
제5장 실정·전국시대
1. 개관
2. 초기 서원조정원
3. 고산수정원
제6장 도산시대
1. 개관
2. 서원조정원
3. 다정
제7장 강호시대
1. 개관
2. 회유식정원
3. 평정(坪庭 쓰보니와)
4. 이도헌추리(離島軒秋里 리토켄 아키사토)
제8장 명치·대정시대
1. 개관
2. 서양식 정원의 영향, 구고하(旧古河 큐후루카와) 정원
3. 소천치병위(小川治兵衛 오가와지헤이 1860~1933년)의 정원
참고 및 인용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