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십 년간 <스미소니언>, <GEO>, <콩데나스트> 매거진 전속 사진작가로 활약한 마이클 프리맨의 포토에세이다. 리듬감과 완급 조절, 세심한 배열을 통해 긴장감을 고조시키고 흥미를 돋우는 방법을 실제 사례를 들어 설명한다.
목차
시작하는 말
제1장 포토에세이 1. 내러티브 이야기 구조 고전 내러티브 공식 3+1 공식 리듬과 페이싱 2. 사진과 텍스트 사진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 캡션의 유용성 3. 사례 연구: 시골 의사 테마와 의도 사전 준비와 계획 촬영 레이아웃 키샷 레이아웃으로 주장을 전개할 수 있다 4. 이야기의 구성 요소 가치 있는 주제 범위 사진 한 장으로 전달하는 이야기 다양성이냐 일관성이냐
제2장 사전 계획과 촬영 1. 이야기의 유형 인물에 관한 이야기 장소에 관한 이야기 제작에 관한 이야기 상품에 관한 이야기 활동에 관한 이야기 소장품에 관한 이야기 기관에 관한 이야기 컨셉에 관한 이야기 2. 테마와 의도 3. 사진 대본 사건 장소 셋업 행위 인물 애드-온 4. 즉석 촬영
제3장 편집과 재현 1. 사진작가의 편집 촬영본을 편집하는 법 편집본과 촬영본의 대조 촬영에 대한 내 기억 편집 결과물 이야기 전반의 편집 2. 의도를 담는 법 3. 디자이너의 편집 시퀀스를 따르느냐 마느냐 회화적인 포토에세이 4. 공간과 시간의 레이아웃 대비: 매사냥 이야기 병치와 대비 5. 장편 포토에세이 6. 온라인 포토에세이 슬라이드 쇼 온라인용 슬라이드 쇼로 전환하기 시퀀스는 연속성과 동의어 사진을 동영상으로 클릭형과 영화형 음향과 동영상 실전 슬라이드 쇼 제작 제작 가치 모바일 디바이스
참고문헌
서가브라우징
여행사진 무작정 따라하기2017 / 지음: 정윤희 / 길벗
아주 특별한 사진수업2014 / 주기중 지음 / 소울메이트
어느 멋진 날 : 나만의 특별한 셀프웨딩촬영2014 / 지아꼬, 규호짱 [공]지음 / 소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