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저자는 ‘사람들이 뇌라고 하면 무엇을 가장 궁금해할까?’ 고민했다. 그래서 홈페이지, 페이스북, 저자의 수업을 듣는 학생들에게 질문을 공모하였다. 그리하여 총 100여 개의 질문을 만든 다음, 글을 쓰면서 필요하다고 판단된 75개의 질문만 추려서 이 책을 완성하였다.
목차
들어가는 말
Part 1 나의 세계: 뇌
1. 뇌는 무엇일까?
2. 뇌에서는 세상의 정보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처리할까?
3. 신경세포(뉴런)의 개수는 몇 개이며 어떻게 측정할까?
4. 커넥톰은 무엇일까?
5. 뇌의 신경회로는 단기간에 형성될 수 있을까?
6. 뇌 영역은 어떻게 나눠질까?
7. 뇌는 유전자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을까?
8. 인간은 평생토록 뇌를 어느 정도 사용할까?
Part 2 변하는 뇌: 뇌(신경)가소성과 발달
9. 뇌는 경험에 따라 변한다고 하는데 사실일까?
10. 뇌가소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일까?
11. 뇌는 나이에 따라 어떻게 변할까?
12. 뇌 발달에 결정적(혹은 민감한) 시기가 있을까?
13. 노인의 뇌도 변할까?
Part 3 뇌에서 일어나는 정신 활동: 인지
14. 인지는 무엇일까?
15. 인지와 정서는 서로 분리되어 처리될까?
16. 뇌활성화 패턴으로 상대방이 무슨 생각을 하는지 알 수 있을까?
17. 뇌에서 일어나는 의식과 무의식의 과정을 과학적으로 연구할 수 있을까?
18. 인지가 무의식적으로 작용하는 예로 어떤 경우가 있을까?
Part 4 인지 이야기: 감각과 지각
19. 두 눈이 정상이면 시지각은 저절로 발달할까?
20. 뇌는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사실일까?
21. 양쪽 눈에 다른 그림을 동시에 보여 주면 뇌는 어떻게 인식할까?
22. 눈이 정상임에도 뇌를 다쳐서 볼 수 없는 경우도 있을까?
23. 글씨를 보면 색깔이나 촉감 혹은 감정이 함께 느껴지는 현상은 무엇일까?
24. 고유감각은 무엇일까?
25. 다중감각 학습이 아동의 인지 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Part 5 인지 이야기: 주의력
26. 뇌는 세상으로부터 들어오는 모든 정보를 다 받아들일까?
27. 주의력 조절 능력이 왜 필요할까?
28. 한 가지 일에 무한정 주의를 쏟을 수 없을까?
29. 여러 가지 일을 한꺼번에 잘하려면 어떤 주의력이 필요할까?
30. 운전 중에 핸드폰을 사용하면 왜 위험할까?
31. 멍때리기의 의미는 무엇일까?
32. 멍때리기를 자주 해도 괜찮을까?
33. 카페에서 공부하면 집중이 더 잘될까?
Part 6 인지 이야기: 기억
34. 기억은 유지하는 시간에 따라 어떻게 나누어질까?
35. 인간의 기억은 어디에 어떤 모습으로 저장되어 있을까?
36. 얼마만큼 반복해야 사진처럼 기억할 수 있을까, 10번, 20번, 30번?
37. 우리는 정보를 무한정 저장하고 기억할 수 있을까?
38. 어떻게 하면 기억을 오래 유지할 수 있을까?
39. 내가 본 것이 틀림없이 맞는 것 같은데 왜 아닐까?
Part 7 인지 이야기: 집행관리기능/메타인지
40. 전두엽의 대표적인 기능은 무엇일까?
41. 창의성을 어떻게 기를 수 있을까?
42. 자기 조절 능력은 왜 어릴 때 길러져야 할까?
43. 메타인지가 무엇일까?
44. 타인이 하는 것을 보면 쉽게 느껴지는데 막상 하면 왜 어려울까?
Part 8 인지 이야기: 사회성과 정서
45. 갓난아이가 타인과 눈을 맞추는 행위가 왜 중요할까?
46. 사람의 얼굴 표정, 몸짓과 같은 사회적 신호는 왜 중요할까?
47. 사이코패스의 뇌는 정상인과 다를까?
48. 폭력적인 게임이 뇌를 변화시킬까?
49. 아름다움을 느끼는 뇌 영역은 사람마다 다를까?
50. 감정도 전염될까?
Part 9 인지 이야기: 기능의 저하 및 이상
51. 아동이 성장하면서 점점 학습이 더디고 어려운 경우도 있을까?
52. 주의가 산만하다고 해서 무조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일까?
53. 글을 읽기가 힘들면 난독증일까?
54. 계산장애는 무엇일까?
55. 발달적 협응장애는 무엇일까?
56. 기억상실증이면 모든 기억이 한꺼번에 다 사라져 버릴까?
57. 사람의 얼굴을 잘 기억하지 못하면 얼굴인식불능증일까?
58. 뇌진탕은 인지기능에 문제를 야기할까?
Part 10 인지 이야기: 검사와 훈련
59. IQ가 정상이면 인지기능이 모두 정상일까?
60. 인지신경심리검사는 무엇일까?
61. 뇌영상촬영이나 뇌파 검사를 하면 인지기능에 문제가 있는지 다 알 수 있을까?
62. 인지기능 향상을 위해 인지훈련이나 인지재활이 왜 필요할까?
63. 운동도 인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훈련이 될 수 있을까?
Part 11 인지의 응용: 인공지능
64. 인공지능은 무엇일까?
65. 인공지능과 인간의 인지기능상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일까?
66. 인공지능이 인간을 대신할 수 있는 분야는 어디까지일까?
67. 인공지능은 우리의 감정을 공감하고 위로해 줄 수 있을까?
68. 인간이 인공지능에 지배당할 수도 있을까?
69. 인공지능은 어떤 방향으로 개발되어야 할까?
Part 12 인지의 응용: 뉴로마케팅
70. 뉴로마케팅은 무엇일까?
71. 물건을 파는 사람은 왜 상품을 자꾸 노출시키려고 할까?
72. 사람들이 자꾸 쳐다보는 물건에 마음이 더 가는 것이 사실일까?
73. 다중감각을 자극하는 것이 마케팅에 왜 도움이 될까?
74. 광고에서 정서를 자극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75. 상품의 디자인이 보는 사람의 행동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