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머리에
1부 진보주의적인 내셔널리즘의 형성·전개·쇠퇴와 미국
1장 패전 직후의 내셔널리즘 난바라 시게루의 내셔럴니즘: 유학과 ‘고향’ 그리고 미국과 ‘일본’
1. 머리말
2. 유럽 유학과 ‘후루사토’
1) 유학 생활에서의 번민
2) 영국 유학과 위안
3. 하부구조로서의 고향
4. 요시노 사쿠조 및 마루야마 마사오와의 비교
5. ‘일본’과 미국
1) 의외의 리얼리즘
2) 난바라와 어머니[母]
3) 난바라 시게루와 미국
6. 하임케르(heimkehr)와 미국
7. 'She'로 표현된 일본
8. 소결
2장 1950년대의 내셔널리즘 1950년대 진보파의 내셔널리즘: 팡팡에 대한 시선과 ‘미국’
1. 머리말
2. 전후의 보수 정당: 귀축미영에서 미국 추종으로
3. 정조의 상실과 ‘문화’비판
1) 양창의 시작과 정착
2) 유린당하는 일본의 정조
3) 한국전쟁과 팡팡
4. 팡당 걸의 시선과 퇴폐
5. ‘퇴폐’와 ‘타락’의 미국적인 색조
6. ‘친미’와 ‘반미’의 경계와 사상
7. 소결
3장 1960년 안보투쟁과 내셔널리즘 일본의 민주주의와 1960년: 시미즈 이쿠타로와 마루야마 마사오
1. 안보투쟁의 배경
2. 안보투쟁
1) 조직
2) 분열의 씨앗
3) 안보 반대와 민주주의
3. 역동성과 민주주의
4. 민주주의와 승패의 문제
5. 소결
2부 보수적인 내셔널리즘의 사상·정치와 미국
4장 반미보수주의의 내셔널리즘 현대 일본의 아이덴티티와 미국: 반미보수주의의 숙명
1. 머리말
2. 현대 일본 사회의 병리
3. 병인으로서의 미국
1) ‘근대’의 상대화와 ‘미국’
2) 아메리카니즘
3) 처방전으로서의 일본
4. 친미보수주의와의 거리
5. 소결
5장 친미우익의 내셔널리즘 친미보수주의의 사상과 정치
1. 머리말
2. ‘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의 약사
3. 제1차 분열과 ‘사상’
1) 발단으로서의 타이완 문제
2) 9․11 테러와 미국
4. 제2차 분열과 ‘정치’
1) 내분과 정치
2) ‘재생기구’와 ‘개선의 모임’
3) 일본회의
5. 리바이어던의 사상과 행동
6. 소결
6장 핵무장론을 둘러싼 내셔널리즘 일본 핵무장론의 사상사적 계보: ‘국가’의 해방과 ‘미국’
1. 머리말
2. 시미즈 이쿠타로의 ‘경험’: ‘국가’와 ‘핵’의 복권
1) ‘경험’의 해방과 보수화
2) ‘경험’과 ‘국가’
3) 국가와 ‘핵’
3. 핵무장반대론의 이상주의와 현실주의
1) 고려해야 할 변수들
2) 이상주의적 핵무장반대론
3) 합리주의적 핵무장반대론
4. 친미보수주의의 핵무장반대론
5. 핵무장찬성론
1) 친미보수주의의 핵무장론
2) 미국불신파의 핵무장론
3) 반미보수주의의 핵무장론
6. 소결
초출일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