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서문
제1장 머리말
제2장 중국 십이장의 형성과 제도화
1. 십이장의 개별도상
1) 문헌에 나타난 인식
2) 현전유물에 나타난 십이장 도상
2. 십이장의 형성과 그 시각성에 대한 해석
1) 십이수十二數의 의미
2) 『상서尙書』 「익직益稷」에 대한 논의
3) 십이장, 문文과 화畵의 경계
4) 면복제도의 성립
3. 십이장 도상의 변용과 지속
1) 한대 이후, 면복제도의 지속과 <제왕도帝王圖>
2) 송대, 의례서의 편찬과 도상의 탄생
3) 명대, 전례서와 도상의 쇄신
4) 청대, 제도의 단절과 도상의 지속
제3장 중국의 책봉체제와 십이장의 전파
1. 동아시아의 책봉 체제
2. 주변국의 십이장 수용양상
3. 조선의 수용
1) 조선의 건국이념과 예치禮治
2) 면복冕服과 십이장十二章에 대한 인식
제4장 조선시대의 십이장 도상
1. 면복에 나타난 구장九章
1) 면복 도설 속의 구장
2) 현전 어진御眞과 구장복
2. 궁중의례미술에 표현된 개별도상
1) 일월성신日月星辰
2) 산山
3) 용龍
4) 화충華蟲
5) 종이宗彝
6) 조藻
7) 화火
8) 분미粉米
9) 보黼
10) 불黻
제5장 대한제국기의 십이장 도상
1. 황제국의 성립과 의례
2. 십이장 도상의 계승과 확산
1) 복식
2) 의물儀物과 의장儀仗
3) 기용器用
4) 건축
3. 일제 강점기에 지속된 왕실전통
제6장 십이장 도상의 미술사적 의의
1. ‘고전상古典象’으로 공유된 도상
2. 십이장 도상의 민간화와 그 특징
제7장 맺음말
참고문헌
도판목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