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우리가 잘 몰랐던 이한열과 그를 둘러싼 여러 사람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의식을 잃은 때부터 장례식이 치러진 때까지 약 한 달 동안의 궤적을 따른다. 왜 폭압에 쓰러질 수밖에 없었는지, 사람들은 왜 이한열을 지켜야 했는지, 이한열은 왜 지금도 중요한 인물로 기억되는지 알 수 있다.
목차
친구를 추억하며 그해 여름의 기억 / 소설가 김영하
프롤로그 꽃이 피었다
1부 중요한 약속 그래도 앞에 선다 힘드니까 쉬었다 가라 신발 찾아가세요 우리 한이 한 장의 사진 세브란스의 기적 모두가 만든 걸개그림 연세 공동체 운동의 풍경 뜨거운 동행 나의 중학교 동창 한열이 그들이 강요당한 분노 계엄령이 선포된다면
2부 한열이 손에 힘이 없어요 불을 붙이겠다 최종 사인 ‘최루탄’ 작별을 준비하며 그림으로 음악으로 가자, 광주로 가자 옷 속에 숨긴 낫 그의 나이 스물둘
에필로그 어머니 그리고 남은 사람들 그리고 남은 물건들
감사의 글 책이 나오기까지 도움을 주신 분들 ‘잃어버린 시간을 찾습니다’ 프로젝트 후원자 명단
서가브라우징
잊혀진 전쟁 6.25 2022 / 지음: 고정양 / 에셀나무
대한민국은 왜 : 1945~20152015 / 김동춘 지음 / 사계절
한국 현대사와 국가폭력2019 / 지음: 김상숙 / 푸른역사
난민, 경계의삶 : 1945~60년대 농촌정착사업으로 본 한국 사회 2023 / 지음: 김아람 / 역사비평사
고통에 대하여: 1979~2020 살아있는 한국사2020 / 지은이: 김영춘 / 이소노미아
대구 10월폭동/제주4·3사건/여·순 반란사건 2017 / 지은이: 김용삼 / 백년동안
고백하는 사람들: 자서전과 이력서로 본 북한의 해방과 혁명, 1945~19502020 / 지은이: 김재웅 / 푸른역사
1987 이한열 : 쓰러져 일으킨 그날의 이야기2017 / 글: 김정희 / 사회평론
대한민국 100년 통사(1948~2048) : 과거사·현재사·미래사의 통시적·통장적 통합사 2024 / 지음: 김진현 / 대한민국역사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