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정2판 서문 7
개정판 서문 9
머리말 11
제1장 종교사회학이란 무엇인가 23
1. 종교사회학의 관점 23
2. 종교사회학 연구방법론 45
제2장 종교의 사회학적 의미 57
1. 종교의 사회학적 정의 57
2. 종교의 구성요소 75
3. 종교성의 차원과 측정 85
제3장 고전 종교사회론 101
1. 사회진화론 102
2. 맑스의 종교사상 126
제4장 뒤르켐의 종교사상 147
1. 뒤르켐 종교사상의 성격 148
2. 종교의 속성 155
3. 종교의 원초적 형태:토테미즘 163
4. 종교의 기능과 전망 170
5. 뒤르켐 종교론의 평가 177
제5장 베버의 종교사상 195
1. 베버 종교사상의 성격 196
2. 개신교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202
3. 동양의 종교와 경제발전 217
4. 종교의 기능과 전망 228
5. 베버 종교론의 평가 237
제6장 종교에 대한 사회이론 249
1. 종교기능론 250
2. 종교기능론의 쟁점 273
3. 종교갈등론 296
4. 종합이론 모형 306
제7장 종교와 사회심리적 요소 309
1. 종교적 경험 310
2. 종교적 사회화 319
3. 종교와 사회적 적응 331
4. 종교와 사회적 태도 343
제8장 종교와 성(性), 나이, 지역 363
1. 종교와 성(性) 363
2. 종교와 나이 383
3. 종교와 지역 394
제9장 종교문화의 다양성 403
1. 종교문화의 유형 404
2. 이데올로기와 종교문화 420
3. 종교생활과 종교문화 431
제10장 종교조직의 발전 437
1. 종교조직의 성격 438
2. 종교조직의 유형 445
3. 종교조직의 하위유형 461
4. 종교조직의 변화 473
5. 종교조직의 제도화 문제 487
제11장 종교적 리더십 495
1. 종교조직과 리더십 495
2. 종교적 권위와 카리스마 500
3. 종교지도자 유형 511
제12장 종교와 사회계층 525
1. 역사종교와 사회계층 526
2. 계층구조와 종교 530
3. 박탈과 종교적 보상 536
4. 종교적 참여와 사회계층 543
5. 종교성과 사회계층 549
제13장 종교와 사회제도 567
1. 종교와 정치제도 568
2. 종교와 경제제도 595
3. 종교와 가족제도 609
4. 종교와 교육제도 622
5. 종교와 과학 628
제14장 종교와 사회변동Ⅰ:독립변수로서의 종교 637
1. 사회변동의 종교적 조건 638
2. 사회변동의 장애물로서의 종교 648
3. 사회변동의 수행자로서의 종교 658
제15장 종교와 사회변동Ⅱ:종속변수로서의 종교 677
1. 사회변동과 종교의 진화 678
2. 사회변동과 종교의 성쇠 694
3. 종교의 세속화 713
4. 종교의 탈세속화 736
5. 종교의 미래 758
참고문헌 771
찾아보기 801
저자약력 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