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권 사이또 타다시의 『일본고고학사』를 만나다
읽고 쓴 이의 시작하는 길
제1장 고고학 전사(前史)에서 유적유물에 대한 관점
1. 유물에 대한 신비적인 반응
2. 유적에 대한 관념
제2장 에도(江戸)시대의 고고학적 연구
1. 에도시대 초기
2. 에도시대 중기
3. 에도시대 말기
제3장 메이지(明治)시대의 고고학
1. 메이지시대 초기
2. 메이지시대 중기
3. 메이지시대 말기
제4장 다이쇼(大正)시대의 고고학
1. 고고학계의 동향
2. 발굴과 연구
제5장 쇼와(昭和) 전기의 고고학
1. 고고학계의 동향
2. 발굴과 연구
제6장 현대의 고고학
1. 고고학계의 동향
2. 새로운 연구 동향과 그 과제
제2권 사카즈메 히데이치(坂詰秀一)의『태평양전쟁과 고고학』
읽고 쓴 이의 시작하는 글
제1장 관(官)과 민간 고고학
1. 일본고고학사 가운데 동아고고학회와 동방고고학협회
2. 민간고고학
3. 경도의 고고학연구회
4. 지역고고학의 활동
제2장「대동아공영권」의 고고학
1. 조선과 조선고적연구회
2. 군수리(軍守里) 페사터와 와카쿠사(若草)가람 발굴
3. 조선에서 민간 차원의 연구
4.『만주』와 동아고고학회
5. 『북지』와 몽강(蒙疆) 고고학
6. 『중지(中支)』와 전쟁터의 고고학
7. 『대만』의 고고학
8. 『남양』고고학의 전개
9. 고고학자 네츠 마사시
10. 『남사할린』과 기무라 노부로쿠(大村信六)·니오카 다케히코(新岡武彦)
11. 브라질 이민과 고고학
제3장 조국(肇國)의 고고학
1. 일본고대문화학회(日本古代文化學會)의 탄생과 활동
2. 고고학자와『일본정신』
읽고 쓴 이의 맺는 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