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1장 프롤로그
01. 용의 나라에 가다
02. 초기 정착과정에서의 애로사항
03. 베트남에서는 되는 것도, 안되는 것도 없다
04. 알짜배기 자료 취득원
05. 부임기간중 베트남 발전상
06. 우리 건설업체 진출 동향
07. 건설 부동산시장으로서 베트남의 매력
08. 국토해양관의 활동
2장 베트남 건설·부동산 시장 이해를 위한 키워드
01. 정치 행정 조직
02. 정부 부처간 업무 분장 및 기능
03. 지역 구분
04. 법령체계
05. 계획체계
06. 사법체계 및 건설분쟁의 국내 해결절차
07. 두 도시 이야기
08. 베트남인의 자부심과 애정의 대상, 홍강
09. 인도차이나 진출의 교두보
3장 베트남의 건설 및 부동산 관련 법령
01. 들어가며
02. 건설관련 법령과 제도
가. 건설회사 설립 및 활동
나. 건설 관련 제도(건설법)
다. 입찰제도(입찰법)
라. Law 38-2009-QH 12(건설투자에 관한 법률의 여러조항 개정에 관한 법률)
마. 도시계획법
03. 부동산관련 법령과 제도
가. 토지법령과 제도
나. 주택법
다. 부동산사업법
(1) 제정 배경 및 경위
(2) 부동산사업법의 편제 및 구성
(3) 부동산사업법령의 주요 내용
부동산사업 활동의 종류
거래 대상이 되는 부동산의 종류
부동산 사업활동을 위한 자(기업과 개인)의 요건
외국인의 부동산사업 활동
주택과 건축물의 선분양 형태의 매매
부동산 거래소
(4) 기타 부동산사업 추진시 적용되는 사례
부동산사업을 위해 정부의 경매대상 토지 입찰에 참여하기 위한 조건
부동산 개발 프로젝트를 위하여 개발업자가 부담하는 주요 세금 및 비용
부동산 양도세 부과
4장 베트남 건설·부동산시장 현황과 주요 정책
01. 건설시장 현황
02. 건설업체 현황과 특징
03. 최근 부동산시장 동향
04. 인프라 현황
도로
철도
항만
공항
수자원(상수도 중심)
전력
정유공장
산업단지(공업단지)
05. 베트남 최대의 이동 수단 오토바이
06. 최근 주요 정책 동향
가 토지정책 동향
개관
토지행정청
발족
토지사용권증서와 주택소유권증서 발급 일원화
Decree 69 제정, 시행
대중교통사업에 활용되는 토지임차료 면제
나. 주택정책 동향
서론
외국인의 주택 소유 정책
비엣큐의 주택소유 확대
사회주택 건설계획
노후 아파트 재건축
결론
다. 도시정책 동향
서론
도시현황과 도시정책 체계
최근 도시정책 동향
베트남 도시정책의 문제점 및 개선사항
라. 신도시 개발동향
(1) 서론
(2) 베트남의 신도시 개발여건과 제도
(3) 신도시 개발 현황 및 시사점
(가) 개관
(나) 현지 기업 개발 현황 및 시사점
(다) 외국기업 신도시 개발 현황 및 시사점
① 외국기업의 신도시 개발 현황
푸미흥 신도시
시푸짜 신도시
말레이시아 Berjaya 그룹 참여 신도시
② 시사점- 푸미흥 사례를 중심으로
(라) 한국기업 진출 현황 및 시사점
(4) 향후 전망 및 진출 확대 전략
(5) 결론 및 시사점
07. 향후 관심사항
2010년도의 중요성
베-중 관계
베-일 관계
부패방지 노력의 실효성 확보 여부
BOT 성공 여부
베트남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 지속 여부
지하공간 개발 성공 여부
하노이 대학교 이전사업
5장 진출 확대 방안
01. 신경써서 봐야 할 부분
가. 계획의 중요성
나. 도시계획의 중요성
GS건설의 9/23 공원의 경우
청년공원 호텔의 경우
다. 입찰과정에서 문제점
경남기업 호텔부지 입찰의 경우
호치민시내 삼각 부지 입찰의 경우
년짝 2 발전소 입찰의 경우
라. 환경관련 규제
02. 실패사례를 통한 교훈 얻기
까이멥 하(Cai Map Ha) 컨테이너 항만사업
홈(Hom)시장 재개발사업
힙 빈폭(Hip Vinh Phuc) 신도시 개발사업
사이동(Sai Dong) 공단부지 용도변경
03. 진출 확대 방안
ODA의 효과적인 활용
중소건설업계 보증 지원
현지화 전략
현지 기여 활동
공기업과의 공동 진출
우리나라의 경제발전 경험공유사업 시행
6장 마무리 말
부록
01. 건설공정의 유형과 등급
02. 2006~2010년간 토지사용계획 관련 의결
03. 건설 분야 조달행정의 투명성 제고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