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역대 대통령 선거에 녹아 있는 한국 현대사
1장. 제1대 대통령 선거 _ 1948년, 우리나라 최초의 보통 선거
미 군정기의 ‘세대주 남성만의 선거’
스물다섯 이하는 투표할 수 없다
남한만의 총선거
내각 책임제냐 대통령 중심제냐
2장. 제2대 대통령 선거 _ 1952년, 8일 만에 선거를 치르다
국회와 이승만의 갈등
개헌은 전 민중이 갈망한다?
헌병에 끌려간 국회의원들
정견도 공약도 없는 선거
“이대로 더 4년을 살아갈 수 없다!”
누구나 예상한 선거 결과
3장. 제3대 대통령 선거 _ 1956년, 못 살겠다 갈아 보자!
신익희를 친일로, 조봉암을 친공으로
못 살겠다 갈아 보자!
전쟁하지 맙시다!
폐쇄된 대구 검표장
서울시민은 자유당을 싫어해
학생들은 가만히 있으라
“어렵더라도 복종하라!”
4장. 제4대 대통령 선거 _ 1960년, 부정선거의 종합선물세트
진보당 등록 취소와 조봉암 사형
국가보안법 개정과 경향신문 폐간
이 세상을 원망하랴 자유당을 원망하랴
내무부 장관의 비밀 지령
부정 선거는 학생의 피를 보게 한다
제2공화국과 지방자치제의 부활
5장. 제5대 대통령 선거 _ 1963년, 자유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쿠데타로 등장한 군사 정권
민주공화당과 4대 의혹 사건
윤보선과 박정희의 ‘자유 민주주의’ 논쟁
“새 일꾼 바로 뽑아 황소같이 부려 보자”
농촌은 여당표, 도시는 야당표
6장. 제6대 대통령 선거 _ 1967년, 홍수처럼 밀려든 개발 공약
군사 정권의 굴욕적인 대일 외교
공화당의 백 가지 약속
“조국 근대화를 완수하자”
선거 전날 발표한 국토 건설 계획
「팔도강산」은 대국민 홍보 영화인가?
지역주의 바람이 시작되다
7장. 제7대 대통령 선거 _ 1971년, 변화의 바람이 불다
삭제된 대통령 연임 조항
김대중의 선거 바람
‘사랑방’과 ‘광장’의 대결
지역주의의 블랙홀에 빠지다
8장. 제8~12대 대통령 선거 _ 1972~1981년, 체육관 선거의 시대
“다시는 여러분에게 표를 달라고 하지 않겠다”
유신헌법과 체육관 선거
유신체제의 종말과 제10대 대통령 선거
정치인 없는 대통령 선거
9장. 제13대 대통령 선거 _ 1987년, 16년 만의 직접 선거
“여야가 합의하여 직선제로 개헌한다”
누가 군정 종식의 적임자인가
정권 교체에 실패하다
10장. 제14~18대 대통령 선거 _ 1992~2012년, 우리의 선거, 우리의 시대
“이번에는 바꿔 보자”
3김 청산이냐 정권 교체냐
인터넷의 등장과 ‘낡은 정치’ 청산
국민이 행복한 세상
부록 대통령 취임사로 읽는 시대정신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