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1 대기에 대한 소개
1.1 대기에 대한 포커스
1.2 과학적 탐구의 본성
1.3 시스템으로서의 지구
1.4 대기의 구성
1.5 대기의 연직 구조
2 지표와 대기의 가열
2.1 지구와 태양의 관계
2.2 에너지, 온도 그리고 열
2.3 열 전달의 기구
2.4 입사 태양복사는 어떻게 되는가
2.5 대기 중 기체의 역할
2.6 지구의 에너지 수지
3 기온
3.1 기록: 기온 자료
3.2 온도는 왜 변화하는가: 온도의 제어
3.3 전 세계의 기온 분포
3.4 기온 주기
3.5 온도 측정
3.6 온도 자료의 응용
4 수증기와 대기안정도
4.1 지구상의 물
4.2 물의 상태변화
4.3 습도: 공기 중의 수증기
4.4 상대습도와 노점온도
4.5 단열온도변화와 구름 형성
4.6 공기덩이를 상승시키는 과정
4.7 날씨 조절 중요인자: 대기안정도
4.8 안정도와 날씨
5 응결 및 강수의 형태
5.1 구름 형성
5.2 구름 분류
5.3 안개의 유형
5.4 강수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5.5 강수의 형태
5.6 강수 측정
5.7 계획적 및 비의도적 기상조절
6 기압과 바람
6.1 기압과 바람
6.2 기압은 왜 변하는가
6.3 바람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6.4 상층과 지상의 바람
6.5 수평바람에 의한 연직운동의 발생
6.6 바람의 측정
7 대기의 순환
7.1 대기운동의 규모
7.2 국지풍
7.3 전 지구 순환
7.4 바람을 구동시키는 기압대
7.5 몬순
7.6 편서풍
7.7 제트기류
7.8 전 지구 바람과 해류
7.9 엘니뇨, 라니냐, 남방진동
7.10 전 지구 강수 분포
8 기단
8.1 기단이란 무엇인가
8.2 기단의 분류
8.3 기단의 변질
8.4 북미 기단의 성격
9 중위도저기압
9.1 전선성 날씨
9.2 중위도저기압과 극전선 이론
9.3 중위도저기압의 이상적인 날씨
9.4 상층기류와 저기압의 생성
9.5 중위도저기압은 어디에서 생성되는가
9.6 현대의 관점: 컨베이어 벨트 모형
9.7 고기압성 날씨와 저지 고기압
9.8 중위도저기압 사례 연구
10 뇌우와 토네이도
10.1 명칭의 의미
10.2 뇌우
10.3 기단뇌우
10.4 위험뇌우
10.5 번개와 천둥
10.6 토네이도
10.7 토네이도의 발달과 발생
10.8 토네이도 파괴와 토네이도 예보
11 허리케인
11.1 허리케인의 개요
11.2 허리케인의 생성과 소멸
11.3 허리케인의 피해
11.4 허리케인의 강도 추정
11.5 허리케인 탐지와 진로 분석
12 기상분석과 예보
12.1 기상산업: 간략한 개관
12.2 기상 자료의 수집
12.3 일기도: 대기 상태의 예측
12.4 혀내적 일기예보
12.5 다른 일기예보 방법
12.6 기상위성: 예보의 도구
12.7 예보의 종류
12.8 예보자의 역할
12.9 예보의 정확도
13 대기오염
13.1 대기오염의 위협
13.2 대기오염의 근원과 형태
13.3 대기질의 경향
13.4 대기오염에 영향을 주는 기상학적 요소
13.5 산성비
14 변화하는 기후
14.1 기후 시스템: 기후변화 탐지의 열쇠
14.2 기후변화의 자연적 원인
14.3 지구 기후에 대한 인간의 영향
14.4 기후-되먹임 메커니즘
14.5 지구온난화의 몇 가지 결과들
15 세계의 기후
15.1 기후 분류
15.2 기후조절인자: 요약
15.3 열대습윤기후(A)
15.4 건조기후(B)
15.5 동계온난중위도습윤기후(C)
15.6 혹독한 겨울의 대륙성습윤기후(D)
15.7 한 대기후(E)
15.8 고지기후
16 대기의 광학현상
16.1 빛과 매질의 상호작용
16.2 신기루
16.3 무지개
16.4 무리, 무리해, 해기둥
16.5 다른 광학현상들
부록 A 도량형 단위
부록 B 일기도의 해독과 설명
부록 C 상대습도와 이슬점 표
부록 D 기체와 관련된 법칙
부록 E 뉴턴의 운동법칙, 기압경도력, 코리올리 힘
부록 F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
부록 G 기후 자료
용어해설
사진, 일러스트, 텍스트 크레딧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