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1 완화 치료의 정의
완화 치료의 역사
완화 치료의 체계
02 죽음과 심리적 이해
환자 심리의 이해
정신과적 문제
환자와의 의사소통
나쁜 소식 전하기
03 보호자의 심리와 역할
보호자의 심리적 이해
보호자와의 소통
보호자의 역할
04 법적, 윤리적 측면
법적 권한과 능력
유언 능력
건강 문제 관련 대리인, 사전 지시 및 생명 유지 치료의 거부
완화 치료, 호스피스 치료 및 연명의료 중단 관련 법률
윤리적 문제
05 통증의 이해
통증의 해부학적 이해
주요 통증 반응의 이해
생리적 통증 조절 기능
통증의 기전
06 통증 치료의 기본 원칙
통증의 진단 및 평가
통증 관련 약물의 이해
통증 치료의 기본 원칙
07 암 환자의 완화 치료
암의 진단과 분류
암 환자의 예후 인자
암 변경 치료
암 통증
돌발성 통증
암 통증 치료 원칙
08 치매 환자의 완화 치료
치매의 이해
치매의 진단과 양상
완화 치료에서의 치매의 예후
치매의 일반적 권리 원칙
치매 동반 증상과 치료
치매 환자의 완화 치료
09 기타 질환별 완화 치료
호흡기 질환의 완화 치료
만성 호흡기 질환의 완화 치료 원칙
심장 질환의 완화 치료
신장 질환의 완화 치료
신경 질환의 완화 치료
간질환의 완화 치료
후천성 면역 결핍증의 완화 치료
10 완화 치료 관련 흔한 증상의 관리
오심 및 구토
연하장애, 소화불량 및 딸꾹질
변비 및 설사
체중 감소(종말증)
피로감
소양증
욕창 관리
구강 관리
비뇨기계 문제
섬망
수면장애 및 완화적 수면
11 외국의 사례
일본의 사례
유럽의 사례
영국의 사례
미국의 사례
12 국내 완화 치료의 현황과 과제
완화 치료 정책 및 제언
완화 치료 관련 규정 및 제언
완화 의료 확대를 위한 제언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