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저자는 사회철학이 우리나라에서 생소한 과목으로 취급되던 1980년대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현실개조에 기여하는 사회철학을 연구하고 가르쳐 왔다. 이 책은 대학에서 20여 년 동안 사회철학, 역사철학을 강의하고, 유네스코에서 10여 년 동안 가치관 교육을 실천한 저자가 사회철학의 토대가 될 만한 이론과 시대적 과제에 도전해 본 실천의 글들을 엮어 사회철학의 안내서로서 펴낸 것이다. 분단시대, 세계화 시대, 다문화 갈등의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피할 수 없는 사회철학의 물음인 평화와 통일, 정의 등의 문제를 생각하게 하는 책이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Ⅰ. 현대철학의 위기와 사회철학의 형성
아직도 철학은 필요한가? - 철학의 부정과 새로운 철학 -
철학의 종말 이후의 철학은? - 비판이론과 실천이론의 사회철학 -
하버마스가 본 철학의 정체성은? - 비판이론에서 합리성의 수호자로 -
철인정치는 가능한가? - 정치발전과 철학자의 역할 -
왜 '사회와 철학 연구회'인가? - 사회현실과 철학의 과제 -
Ⅱ. 사회개혁과 역사발전의 철학적 모색
칼 마르크스, 인간해방의 역사철학
마르틴 부버, 나와 너 대화의 철학
위르겐 하버마스, 해방적 인식 관심과 실천의 철학
칼 오토 아펠, 선험화용론과 담론의 철학
포스트모더니즘, 탈현대와 현대성의 철학
Ⅲ. 분단시대의 극복과 통일의 철학
통일의 철학과 철학의 통일
해방과 분단의 정치철학적 반성
통일시대의 민족의식
정치적 통일의 원칙과 철학적 담론
분단시대의 동독과 북한의 분단철학
통일 논의에서 본 민족과 평화
Ⅳ. 세계화 시대의 위기와 시장의 철학
세계화의 불안과 세계시민적 이성
시장경제의 세계화와 세계시민의 윤리
글로벌 경제위기와 시장의 철학
동아시아 사회발전과 아시아적 가치
Ⅴ. 다문화 시대의 갈등과 평화의 철학
문명 간의 갈등과 상생의 윤리
동아시아의 공존과 평화의 철학
평화운동의 철학과 역사적 전개
인권운동의 철학과 실천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