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어떻게 뇌가 작동하고 발달하는지와 관련하여 밝혀진 지식에 토대를 둔 교육과정과 교수법을 개발함에 있어 이론적·경험적으로 견고한 기초를 갖추는 데 관심을 두고 있는 과학-수학 전공 교육자, 연구자 및 대학원생, 또한 과학-수학 및 다른 과목의 교사들에게 도움을 주는 책이다.
목차
1 인간은 어떻게 학습하는가
1. 도입
2. 경험주의, 생득주의, 구성주의
3. 지식의 구조에 대한 탐구
4. ‘만약/그러면/그러므로’의 패턴이 실제적 문제해결에서도 작용하는가
5. 학습의 요소
6. 지식의 두 가지 유형
7. 피아제의 구성주의
8. 심리학적 자기규제
9. 교육적 함의
2 자기규제의 신경학적 기초
1. 도입
2. 뇌는 어떻게 시각적 입력 정보를 처리하는가
3. 청각적 입력 정보 또한 가설-예측적 방법으로 처리되는가
4. 신경 신호와 관련된 주요 구조
5. 뉴런의 신호와 층
6. 망 모델링 원리
7. 경험은 어떻게 연결성을 강화하는가
8. 로랑의 학습에 대한 신경학적 설명
9. 신경망으로 고차적 학습을 설명할 수 있는가
10. 교육적 함의
3 뇌 성숙, 지적 발달 그리고 서술적 개념 구성
1. 도입
2. 연구 방법
3. 전체적 결과, 잠정적 결론, 제기되는 핵심 의문
4. 개별 과제의 결과
5. 러바인-프루에트 신경망
6. 결론
7. 교육적 함의
4 뇌 성숙, 지적 발달 그리고 이론적 개념 구성
1. 도입
2. 뇌 성숙 관련 연구
3. 연구 방법
4. 결과
5. 논의
6. 결론 및 교육적 함의
5 창의적 사고, 유추 그리고 유추적 사고의 신경 모형
1. 도입
2. 유추는 왜 과학과 학습에서 그렇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가
3. 핵심 문제
4. 적응적 공명 : 입력과 예상 맞추기
5. 유추의 신경학적 토대
6. 요약
7. 교육적 함의
6 이론적 개념 형성과 변화에서 유추와 사유 능력의 역할
1. 도입
2. 연구 방법
3. 결과 및 논의
4. 결론 및 교육적 함의
7 대학생 시기의 지적 발달 : 5단계가 존재하는가
1. 도입
2. 연구 방법
3. 결과
4. 논의
5. 결론 및 교육적 함의
8 과학적 개념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가
1. 도입
2. 제4의 개념: 가설적 개념
3. 연구 방법
4. 결과
5. 논의
6. 결론 및 교육적 함의
7. 부록
9 과학적 발견의 정신적 모형과 신경학적 모형
1. 도입
2. 갈릴레오의 발견
3. 갈릴레오의 추론
4. 과학적 발견에 관여된 추론 모형
5. 과학적 방법이 있는가
6. 귀납 유도는 과학의 대안적 방법으로서 자격이 있는가
7. 가설-예측성 추론의 ‘논리’와 과학적 발견
8. 결론 및 교육적 함의
10 예비교사들이 지닌 과학의 본성에 대한 오개념 제거하기
1. 도입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결과 및 논의
5. 결론 및 교육적 함의
11 지식과 수업의 본질에 대한 함의
1. 도입
2. 구성주의에 대한 대안적 유형에 대한 함의
3. 지적 발달 단계의 존재
4. 지적 발달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5. 교실에서 5단계 추론 능력 발달시키기
6. 결론
7.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