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K연구단이 제창한 '공동자원론'이 기반하여 기획되었다. 공공재 성격을 가진 자연자원에 대한 사유화로 인해서 빚어지는 자연파괴를 극복하는 대안으로서 '제주'라는 특수한 자연, 문화 공간에서 그 흔적을 발견하고 되살리는 접근 방식으로 기획되었다.
목차
공동자원연구총서 서문 최현 5 공동자원의 섬 제주 1권 서문 정영신 9
제1부 공동자원론을 제창하며 21 제1장 공동자원이란 무엇인가? 최현 23 제2장 공동자원론의 쟁점과 한국 공동자원 연구의 과제 최현·따이싱셩 41 제3장 엘리너 오스트롬의 공동자원론을 넘어서 :자원관리 패러다임에서 커먼즈에 대한 정치생태학적 접근으로 정영신 80
제2부 땅 127 제4장 제주의 공동목장 : 공동자원으로서의 특징 최현 129 제5장 지도로 보는 제주도 공동목장 해체의 실태 김성훈 153 제6장 제주 마을공동목장 해체의 원인과 사회,생태적 귀결 윤순진 177 제7장 제주 마을공동목장의 재생 사례들 유병연 234
제3부 물 259 제8장 제주의 토지와 지하수 : 공동자원으로서의 공통점과 차이점 최현 261 제9장 공수에서 공동자원으로 : 제주 지하수의 먹는 샘물용 증산 논란을 중심으로 김선필 289 제10장 제주 용천수의 이용관행과 물 공동체 문경미 326 제11장 제주도 마을어장 관리제도의 변천 강경민 365
제4부 바람 409 제12장 제주의 바람은 누가 어떻게 이용해야 하는가? 최현·김선필 411 제13장 제주도 바람의 자본화에 저항하는 풍력자원 공유화운동 김동주 442 제14장 인문 공동자원으로서 ‘바람風, 希望’ : 한국학 전통에서 본 제주 바람 김치완 483
서가브라우징
제3의 장소: 작은 카페, 서점, 동네 술집까지- 삶을 떠받치는 어울림의 장소를 복원하기2019 / 지음: 레이 올든버그; 옮김: 김보영 / 풀빛
2050 거주불능 지구 : 한계치를 넘어 종말로 치닫는 21세기 기후재난 시나리오 2020 / 데이비드 월러스-웰즈 지음 ; 김재경 옮김 / 추수밭
기후위기 시대에 춤을 추어라 : 기후-생태 위기에 대한 비판과 전망 2024 / 지음: 이송희일 / 삼인
살아있는 것도 나눔이다 : 우리 삶을 재구성하는 나눔의 발견2017 / 전성실 지음 / 착한책가게
놀이터를 지켜라 : NGO, 지자체, 건축가, 기업, 마을 공동체가 함께한 놀이터 개선 프로젝트 586일의 기록2016 / 제충만 지음 / 푸른숲
자공공 : 우정과 환대의 마을살이2014 / 조한혜정 지음 / 또하나의문화
자연이 보내는 손익 계산서 : 자연은 우리에게 무엇을 주는가?2015 / 토니 주니퍼 지음 ; 강미경 옮김 / 갈라파고스
공동자원의 섬 제주 = Jeju, the island of the commons. 1, 땅, 물, 바람2016 / 최현 외 지음 / 진인진
공동자원의 섬 제주 = Jeju, the island of the commons. 2, 지역 공공성의 새로운 지평2016 / 최현 외 지음 / 진인진
세계 끝의 버섯 : 자본주의의 폐허에서 삶의 가능성에 대하여 2023 / 지음: 애나 로웬하웁트 칭 ; 옮김: 노고운 / 현실문화 :
블루프린트: 이기적 인간은 어떻게 좋은 사회를 만드는가2022 / 지음: 니컬러스 A. 크리스타키스; 옮김: 이한음 / 부키
딥 타임 : 빛도 시간도 없는 40일, 극한 환경에서 발견한 인간의 위대한 본성 2022 / 지음: 크리스티앙 클로; 옮김: 이주영 / whalebooks:
딥 타임 : 빛도 시간도 없는 40일, 극한 환경에서 발견한 인간의 위대한 본성 2022 / 지음: 크리스티앙 클로; 옮김: 이주영 / whale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