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한반도철도의 역할은 단순한 교통수단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한국 근현대 100년의 시간 동안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각 영역에서 소통의 아이콘으로 변화·발전을 모색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미래의 한반도철도는 동북아 공생발전망의 핵심으로 발전하여야 한다.
목차
발간사
1. 동아시아 철도의 세계화: 시베리아횡단철도
1) 시베리아를 횡단하여 철도를 건설하라
2) 철도의 종점을 어디에 둘 것인가?: 러시아와 일본의 대립
2. 철도역을 점령하라: 러일전쟁의 회전들
1) 러시아와 일본이 전쟁을 시작하다
2) 철도역을 점령하기 위한 전투
3. 대륙침략의 선봉, 남만주철도주식회사
1) 남만주철도주식회사의 설립
2) 한국철도와 만철의 관계
4. 철도선을 따라 이루어진 일제의 대륙 침략
1) 시베리아내전과 일본군의 시베리아철도 점령
2) 만주사변 그리고 전만주의 철도를 점령하라
3) 점을 찍고 선을 잇다: 철도를 이용한 중국 침략
5. 철도부설: 동원과 저항
1) 철도부설에 동원된 민중들
2) 저항과 탄압
6. 침략의 도구 vs 저항의 수단
1) 감시와 검속
2) 효율적 운동의 도구: 민족해방운동가들의 철도와 열차
7. 점과 선을 면으로 압박하라: 철도를 둘러싼 민족해방투쟁
1) 이만역 방어전투에서 산화한 대한의용군 한운용 중대
2) 시베리아철도 연선에서 벌어진 대한의용군의 전투들
8. 철도연선을 넘나드는 독립운동가들
1) 탈출: 철도를 넘어서라
2) 다시 전선으로: 철도를 이용하라
9. 철도를 이용하라 vs 파괴하라: 달라진 전쟁의 양상
1) 해방과 분단 그리고 철도
2) 한국전쟁의 발발: 철도가 전쟁을 바꾸고, 전쟁이 철도를 바꾸다
3) 철도를 이용한 작전
10. 피난: 철도와 고달픈 한국인의 삶
1) 무엇을 타고 피난을 갈 것인가?: 가능하면 기차를 타고
2) 공습과 피난
11. 파괴와 복구의 반복
1) 철도를 파괴하는 미군의 공습
2) 파괴된 철도망의 복구
에필로그: 전쟁과 정치, 동아시아 그리고 철도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