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장자>를 좀 더 잘 이해하기 위한 일종의 참고서다. 또한 왕방웅 교수가 직접 강연한 내용을 정리했으며, 강당에서 청중을 앞에 두고 실제로 강연하는 듯한 분위기가 담겨 있고, 일상의 구어체를 주로 사용했다. 그래서 좀 더 친근감과 호소력이 있다.
목차
서문
Ⅰ. 무하유지향(無何有之鄕)에서 나비가 되는 꿈을 꾸다 - 우언(寓言)에 담긴 철학적 지혜
프롤로그 ‘샹그릴라’는 우리 모두의 마음속에 있다
제1장 인간이 직면한 존재와 상황의 딜레마 - ‘재(材)’와 ‘부재(不材)’ 사이에서
제2장 집착하는 삶과 끌려가는 삶 - 망량이 경에게 묻다(罔兩問景)
제3장 나와 세상 만물(人我), 서로 마음이 통하다 - 호량지변(濠梁之辯)
제4장 세상의 꼬인 매듭을 풀다 - 포정이 소를 해체하다(庖丁解牛)
제5장 삶의 교차와 성장 - 장자가 나비의 꿈을 꾸다(莊周夢蝶)
제6장 인생의 본모습을 꿰뚫어보다 - 신통한 무당 계함(神巫季咸)
제7장 혼돈(混沌)을 뚫어서 깨뜨리다 - 혼돈의 죽음
제8장 숙산무지(叔山無趾)의 미몽(迷夢)과 깨달음 - 발뒤꿈치를 끌며 공자를 만나다
제9장 방내, 방외에서 함께 노닐다 - 도(道)의 세계에서 서로를 잊다
Ⅱ. 인간 세상에서 한가로이 노닐다 - 《장자》를 읽으며 인생을 말하다
프롤로그 전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고전을 우리의 삶 속으로 끌어들이다
제1장 바쁘고(忙), 막막하고(茫), 불투명한(盲) 삶의 고통에서 벗어나다
제2장 나의 삶은 유한하지만 세상은 복잡하다 - 존재의 딜레마
제3장 ‘사물(物)’의 유한함으로 ‘마음(心)’의 무한함에서 노닐다
제4장 허이대물(虛而待物), 자기 자신의 삶을 살아라
제5장 허정(虛靜)과 관조(觀照)를 통해 진실함과 아름다움을 비추다
제6장 자유롭고(自在) 자득(自得)한 가운데 본연(然)의 모습을 찾다
제7장 자신의 참됨(眞)으로써 삶을 아름답게 즐겨라
제8장 ‘유(有)’와 ‘무(無)’의 생명의 지혜
부록 우언원전(寓言原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