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표현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이는 언어철학의 핵심 문제이자 철학의 근본 문제 가운데 하나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지금껏 현대 언어철학에서 주류 이론의 역할을 맡아온 ‘표상주의 의미론’의 한계들을 조목조목 비판하고, 그 대안으로 ‘추론주의 의미론’을 제시한다.
목차
머리말
제1부 표상주의 의미론 제1장 의미지칭이론 제2장 마이농의 대상이론 제3장 프레게의 뜻 이론 제4장 러셀의 확정기술이론 제5장 이름의 의미와 기술주의 제6장 기술주의에 대한 크립키의 비판과 직접지칭이론 제7장 인과·역사이론 제8장 직접지칭이론의 난점들 제9장 인과·역사이론의 난점들 제10장 자연종명사들과 퍼트넘의 쌍둥이지구논증
제2부 비표상주의 의미론 제11장 벽돌쌓기 모델과 전체론 모델 제12장 비트겐슈타인의 의미사용이론 제13장 추론주의 의미론 제14장 대용어 메커니즘 제15장 추론주의 의미론은 의미사용이론의 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가 제16장 의미 불안정성 문제 제17장 허구의 이름에 관한 추론주의 의미론 제18장 필연성과 개념의 수정가능성 제19장 규칙주의, 규칙성주의 그리고 중도의 길 제20장 데이비드슨의 진리조건 의미론과 그 한계
맺음말 주·참고문헌·찾아보기 총서 ‘지의 회랑’을 기획하며
서가브라우징
사라질 것 같은 세계의 말 : 세상을 가득 채우고 있는 소수언어에 대하여2018 / 글: 요시오카 노보루 ; 그림: 니시 슈쿠 ; 옮김: 문방울 / Seedpaper(시드페이퍼)
인지언어학개론1998 / Friedrich Ungerer ; Hans-Jorg Schmid 지음 / 태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