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부 자화상과의 만남
1. 나는 왜 나를 그리는가
윤동주와 자화상
미켈란젤로와 자화상
나를 그리는 까닭
2. 화가와 자의식
3. 그려진 나, 그린 나
2부 한국 자화상의 흐름
1. 한국의 자화상 연구
2. 선비적인 자의식: 18~19세기
초상화는 성했지만 자화상은 드물었다
수집 열기와 초상화 변화
새로움과 파격, 윤두서·강세황·채용신
의미 있는 변화, 근대의 씨앗
3. 서양화 1세대의 낭만과 우울: 1910~1920년대
최초의 유화 자화상
우울한 낭만
자화상의 본격화
성찰의 부족 - 동경미술학교 졸업작
시선 배경의 실험 - 조선미술전람회 자화상
4. 역사와 일상: 1930~1940년대
화가로서의 지위와 인식 향상
자화상 연작의 본격화
배경의 다양화
역사 직면, 일상 포용
더욱 원숙해진 실험들
3부 한국 자화상을 보는 눈
1. 전신사조의 딜레마
전통 초상화와 전신사조
전신론을 어떻게 볼 것인가
2. 배경과 소품의 변화와 상징성
왜 배경과 소품인가
배경과 소품의 등장: 1910~1920년대
배경과 소품의 본격화: 1930년대
배경과 소품의 질적인 변화: 1940년대
배경과 소품에 담긴 모순과 상징
3. 배경과 소품을 통해 본 작가 의식
관료 선비 지향 의식: 18~19세기
1세대 서양화가로서의 고뇌: 1910~1920년대
화가로서의 작가 의식 정립: 1930년대
역사에 대한 고뇌와 일상의 포용: 1940년대
4. 시선과 눈빛
자화상과 시선
세상을 향한 응시
우울과 불안
눈과 시선의 실종
눈빛의 매력
4부 명작 깊이 읽기
1. 윤두서 - 과연 선비의 얼굴인가
무시무시한 자화상 - 선비의 얼굴인가?
윤두서의 삶과 정치적 소외
옷선과 귀의 발견 그리고 논란
작은 귀, 어떻게 그렸을까
자화상 다시 보기
2. 강세황 - 자의식 속에 감춰진 출사 욕망
자화상을 많이 그린 까닭
모순 화법, 70세 자화상
모순의 의도와 강세황 내면의 본심
초야에서 머뭇거림
출세에 대한 욕망과 자의식
3. 채용신 - 무관인가, 초상화가인가
무인, 자화상을 그리다
배경, 소품 표현의 일대 혁신
왜 부채, 안경인가
4. 고희동 - 최초의 서양화가가 가슴을 풀어 헤친 까닭
첫 유화 자화상
첫 미술 유학생의 내면
풀어 헤친 모시 적삼
유화를 포기하다
5. 나혜석 - 선구적이어서 비극적인, 운명적 예감
선구적이어서 비극적인
수덕사 수덕여관
행려병자 나혜석
1928년 미스터리
중성적 마스크와 운명적 예감
6. 이쾌대 - 얼굴에 역사와 서사를 담다
드라마틱한 인물화
역사 앞에 서다
모순을 끌어안고…
7. 이인성 - 여인도 떠나고 시선도 사라지고
요절한 천재 화가
눈을 그리지 않은 까닭
이인성과 세 여인
붉은색과 푸른색
8. 장욱진 - 전쟁이 낳은 탈속의 경지
농촌 들판을 걷는 연미복의 사내
전쟁의 상흔과 치유
전쟁의 모순과 역설
길 위의 장욱진
주
참고 문헌
그림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