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게리 우베저
발간사 / 이희철
역자의 글 / 김영준
1장 도입
정말 야생동물의 질병이 중요해 지는가?
야생동물 질병의 연구: 공통연역
2장 질병이란 무엇인가?
손상과 손상에 대한 반응
질병의 명명
질병의 비용
원인체, 숙주, 환경 질병 모델
노출과 저항
3장 질병의 원인은 무엇인가?
질병의 원인 규명하기
질병의 원인
4장 질병을 어떻게 확인하고, 묘사하고, 측정하는가?
질병의 검출
질병 검출을 위한 표본 조사
질병을 서술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들
5장 손상, 병원성, 병독성
병독성은 병원체와 동물사이의 관계에서 우연의 일치로 발생하는 부산물이다
병독성은 기생체에게 적응성이거나 유익하다
공진화
6장 방어, 저항성과 회복
행동적 회피
물리적 장벽
선천적 방어
후천성 면역
진단 검사와 방어기전
방어의 개요
회복과 수복
7장 환경적 상호작용
스트레스와 피로
비생물학적 요인들
생물적 요인
8장 감염성 질병의 전파와 영구화
숙주로부터 탈출
외부 환경을 지나 새로운 숙주 찾기
간접전파
새로운 숙주로 침입
질병의 확립 및 영구화
9장 비감염성 질병: 영양소와 독성 물질
영양적인 상호작용
유독하고 독성이 있는 화합물
10장 질병이 개체동물에 미치는 영향
모든 질병의 일반적인 특징
손상의 유형
개체 동물들에 대한 질병의 영향 측정
11장 질병이 야생동물 개체군에 미치는 영향
개체군이란?
개체군의 일반적 특성
제한, 조절과 보상
개체군에 대한 영향의 측정
질병은 개체군에 영향을 미치는가?
12장 인간 및 가축과 공유하는 질병
무생물 보유체와 공유되는 질병
야생동물이 주요 보유숙주인 인수 공통 질병
야생동물과 가축 모두에 의해 유지되는 인수 공통 질병
인간이 유지숙주가 되는 인수 공통 질병
야생동물과 가축이 공유하는 질병
인수공통질병 피하기
13장 질병 관리
왜 관리를 시도하는가?
관리의 목표들
관리를 위한 선택들
최적 기법 선택과 경과 측정
14장 요약
질병: 사체 그 이상의 것
질병의 비용
노출과 저항성
질병과 절충
생과 공정함
다숙주기생: 주의해야 할 기생체들과 병원체들
질병에 미치는 사람의 영향
미래의 할 일
부록: 학명
용어정리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