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제1부 사물의 입체화와 고전문학
〈만복사저포기〉의 환상 구현방식과 문학적 의미
1. 서론
2. 전기문학과 환상
3. 〈만복사저포기〉의 환상 지표
4. 환상 구현의 문학적 의미
5. 결론
고전소설 무덤 소재의 현대적 전승 양상의 의미 - 〈만복사저포기〉와 〈영혼은 호수로 가 잠든다〉를 중심으로
1. 서론
2. 서사적 친연성
3. 무덤 소재의 전승 양상
4. 무덤 소재 전승의 문학적 의미
5. 결론
고전소설에 나타난 꽃의 문예적 조명
1. 서론
2. 꽃의 형상화 기법 양상
3. 꽃의 서사 구조적 기능
4. 꽃을 통해 본 심미주의적 문예관
5. 결론
고전소설에 나타난 노제(路祭)의 문학적 의미
1. 서론
2. 노제의 형상화 양상
3. 노제의 문예적 기능
4. 노제를 통해 본 상생(相生)의 사생관
5. 결말
〈성산별곡〉 서사의 미적 요소와 문학적 의미
1. 서론
2. 서사의 미적 요소
3. 미적 요소의 문학적 의미
4. 결론
제2부 공간의 상상력과 고전문학
〈홍계월전〉의 여성영웅 공간 양상과 문학적 의미
1. 서론
2. 여성영웅 공간의 양상
3. 여성영웅 공간의 문학적 의미
4. 결론
〈최척전〉의 노정 공간 연구
1. 서론
2. 고전 서사의 노정 공간 양상
3. 〈최척전〉의 노정형 서사 구조
4. 〈최척전〉의 노정 공간 문예미
5. 결론
〈장진주사〉의 공간 분할과 미학적 가치
1. 서론
2. 〈장진주사〉의 취중 문답 공간
3. 공간 분할의 의미
4. 공간 분할의 미학적 가치
5. 결론
제3부 주제의 형상화와 고전문학
〈최생우진기〉의 선소설적(禪小說的) 미학
1. 서론
2. 용궁의 화두적 공간 형상화
3. 〈최생우진기〉의 선화적(禪話적) 특질
4. 결론
〈원가〉의 언로(言路) 방식과 군자지도(君子之道) 세계관
1. 서론
2. 〈신충괘관〉조의 군자상달(君子上達) 언로 방식
3. 〈원가〉의 군자지도 형상화
4. 결론
〈맹강녀(孟姜女)〉 설화의 서사문학적 가치 재구
1. 서론
2. 전승 양상의 성격
3. 〈맹강녀〉 설화의 서사문학적 특질
4. 결론
《사산비명》 행정부 서사의 문학적 성격와 의미
1. 서론
2. 행적부 서사의 문학적 성격
3. 행적부 서사의 문학적 의미
4. 결론
찾아보기
참고문헌
논문 초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