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한일 양국관계의 역사는 단순히 정부간의 관계에 그치지 않는다. 국가의 대외적 상호관계를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요인들, 즉 국내정치적 요소, 시민사회 및 정체성, 리더십 요인뿐 아니라 국제정치적 환경이 미치는 영향도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이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발간사
서문: 한일 국교정상화 50년 역사가 던지는 학문적 의미들 / 김기정(金基正)
Part 1. 정부간 협의와 결과
1. 한일기본조약의 의의와 한계
1.1 한일기본조약 체제의 회고와 향후 과제 / 니시노 준야(西野純也)
1.2 한일기본조약의 의의와 한계 / 김웅희(金雄熙)
2. 고노 무라야마 담화
2.1 두 개의 '담화'와 역사인식문제의 난관 / 오쿠조노 히데키(奥薗秀樹)
2.2 고노 담화와 무라야마 담화는 한국사회에 수용된 것일까? / 최희식(崔喜植)
3. 한일공동선언
3.1 한일관계 50년의 성찰 ─ 1998년 한일파트너십 공동선언의 합의와 경과 / 양기호(梁起豪)
3.2 한일공동선언의 역사적 의의 / 니시노 준야(西野純也)
4. 남겨진 역사문제: 위안부·강제징용
4.1 남겨진 한일 역사문제: 위안부·강제징용 / 이원덕(李元德)
4.2 일본에서 본 '위안부문제'와 한일협력의 가능성 / 소에야 요시히데(添谷芳秀)
Part 2. 대내외적 환경의 변화와 과제
5. 동북아시아의 정세변화
5.1 동북아시아의 정세변화와 한일관계의 다층화 및 국제정치적 인식의 괴리 / 배종윤(裵鍾尹)
5.2 동북아시아 정세의 변화와 한일관계 ─ 경제적 시점을 중심으로 / 고마키 데루오(小牧輝夫)
6. 정체성과 내셔널리즘
6.1 한국과 일본의 정체성과 민족주의 ─ '비교사'와 '관계사'를 중심으로 / 김상준(金相準)
6.2 한일의 정체성과 내셔널리즘 ─ 일본의 시각 / 미야기 타이조(宮城大蔵)
7. 정치와 미디어가 한일관계에 준 영향
7.1 일한 50년의 성찰 ─ 정치와 매스미디어 / 야쿠시지 가쓰유키(薬師寺克行)
7.2 한일 50년 성찰 ─ 정치와 미디어를 중심으로 / 신정화(辛貞和)
8. 시민사회의 변증법과 한일관계
8.1 시민, 민주주의, 사회 / 오쿠라 키조(小倉紀蔵)
8.2 한일 시민사회 교류 50년 / 이기태(李奇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