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라는 개념이 이미 우리나라 사람에게 회자되고 있지만, 상호문화에 관해서는 관심이 부족하다. 다문화의 문제적 상황이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에 오히려 발전시켜서 상호문화주의로 가야만 한다. 이것이 이 책이 주장하는 한 축이다.
목차
1. 서론 5 일러두기 12
제1부 상호문화철학이란 무엇인가? 2. 상호문화철학 17 2.1. 상호문화철학의 생성 18 2.2. 단일문화주의, 다문화주의, 상호문화주의, 초문화주의 24 2.2.1. 단일문화주의와 초문화주의 25 2.2.2. 다문화주의 29 2.2.3. 상호문화주의 33 3. 유럽중심주의 비판 41 3.1. 문맥성과 실천의 강조 41 3.2. 중심주의 48 3.3. 막스 베버와 에드워드 사이드 56 3.3.1. 재현의 문제 56 3.3.2. 베버의 서구적 합리성 77 3.3.3.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 88
제2부 상호문화 철학의 제 문제들 4. 상호문화철학적 해석학 103 4.1. 객관주의적 해석학 108 4.2. 철학적 해석학 121 4.3. 유비적(analogisch) 해석학 155 5. 유럽의 길과 불교의 길 182 5.1. 동일성과 통일성의 길 186 5.1.1. 통일성의 철학자 헤라클레이토스 191 5.1.2. 동일성의 철학자 파르메니데스 200 5.2. 타자성의 길-서구 내에서의 또 다른 흐름, 레비나스 213 5.3. 불교의 나가르주나의 상의성(相依性)의 길 223 5.4. 네 유형의 비교 233 6. 서양 철학의 전통적 주제에 대한 나가르주나적 검토 236 6.1. 존재론 236 6.1.1. 한국인에게 있어서 파르메니데스 이해의 어려움 237 6.1.2. 고대 그리스의 존재론 238 6.1.2.1. 파르메니데스 240 6.1.2.2. 플라톤 241 6.1.2.3. 아리스토텔레스 247 6.1.3. 나가르주나의 철학 251 6.1.3.1. ‘가는 것의 감’에 대한 비판 253 6.1.3.2. 운동의 부정 258 6.1.3.3. 불일불이(不一不異) 261 6.1.3.4. 연기의 본질인 상의(相依) 264 6.1.4 서양적 존재론과 나가르주나 철학의 비교 268 6.2. 변화와 자기 동일성 276 6.2.1. 변화와 자기 동일성의 상충 278 6.2.1.1. 헤라클레이토스의 변화 문제 제기 278 6.2.1.2. 나가르주나 280 6.2.2. 변화문제의 해결 방식 282 6.2.2.1. 고대 그리스 282 6.2.2.2. 나가르주나 289 6.2.2.3. 고대 그리스와 나가르주나의 비교적 고찰 299 6.2.3. 전체적 평가 307 7. 한국의 서구와의 고통스러운 만남 310 7.1. 근대화 담론과 민족주의 담론의 허구성 310 7.1.1. 현재의 한국적 일상의 한 장면 312 7.1.2. 한국의 근대화 과정에 서 있었던 학자들 314 7.1.2.1. 근대성 316 7.1.2.2. 보수주의 319 7.1.2.3. 절충주의 325 7.1.3. 민족주의와 근대 국가 체제에 대한 회의 328 7.1.4. 민족주의를 넘어서 333 7.2. 민족주의에서 아나키즘으로, 신채호 339 7.2.1. 중화주의, 유럽중심주의 그리고 민족주의 341 7.2.1.1. 중화주의 341 7.2.1.2. 유럽중심주의 343 7.2.1.3. 민족주의 344 7.2.2. 신채호의 민족주의 346 7.2.2.1. 제한된 공동체로서의 민족 347 7.2.2.2. 주권적 공동체로서의 민족 349 7.2.2.3. 공동체로서의 민족 358 7.2.2.4. 상상된 공동체로서의 민족 360 7.2.3. 신채호의 아나키즘 365 7.2.3.1. 사상적 전환 365 7.2.3.2. 민중의 발견과 배타성 완화 366 7.2.3.3. 보편주의 대 문맥주의 369 8. 책을 마치면서 377
참고문헌 381 개념 색인 390 인물 색인 394
서가브라우징
철학은 말이야 : 우리가 알아야 할 모든 철학 2022 / 지음: 장동익 / 씨아이알
철학은 말이야 : 우리가 알아야 할 모든 철학 2022 / 지음: 장동익 / 씨아이알
매일 10분 철학 수업: 짧고 굵게 배우는 서양 철학!2022 / 지음: 장웨이, 션원졔, 옮김: 이지수 / 정민미디어
매일 10분 철학 수업: 짧고 굵게 배우는 서양 철학!2022 / 지음: 장웨이, 션원졔, 옮김: 이지수 / 정민미디어
나의 작은 철학: [청소년]: 일상의 틈을 우아하게 건너는 법2023 / 지음: 장춘익 / 곰출판
나의 작은 철학: [청소년]: 일상의 틈을 우아하게 건너는 법2023 / 지음: 장춘익 / 곰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