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쿠바의 경관 : 전통유산과 기억, 그리고 장소
발행연도 - 2017 / 지음: 조지프 L. 스카파시 ; 아르만도 H. 포르텔라 ; 옮김: 이영민 ; 김수정 ; 조영지 / 푸른길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396787
-
ISBN
9788962914139
-
형태
296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역사
>
지리
>
북아메리카지리
-
카테고리분류
역사/문화
>
서양사
>
라틴아메리카사
책소개
제목 그대로 쿠바의 독특한 ‘경관’을 대상으로 하여 그 전통유산, 기억, 장소를 풀어 나가는 방식으로 이른바 ‘쿠바성’의 실체를 밝히고 있다. 쿠바의 독특한 경관이 지니고 있는 물질적 형태로서의 특성과 상상적 개념화, 즉 사회적 의미체로서의 특성에 대한 통찰적인 분석을 시도한다.
목차
서문
감사의 글
역자 서문
제1장 쿠바의 경관에 대하여
경관으로서 쿠바
19세기 쿠바의 풍경화
전반적인 경관
쿠바라고 불리는 곳
자연 및 환경적 특성
결론
제2장 훔볼트의 경관: 과거와 현재 연결하기
훔볼트: 엘리트 르네상스 독일인이자 노예폐지론자
아바나의 식민경관
영토확대론자 논의에서 인종과 노예
초창기 설탕경관
사회주의자 시대의 훔볼트
결론
제3장 설탕
쿠바의 설탕경관의 성립
사회주의 시기의 설탕: 1959-2008년
결론
제4장 전통유산
쿠바의 국가 유적과 세계유산 지역
쿠바의 세계유산
위험에 처한 유산
다른 형태의 전통유산들
잃어버린 전통유산: 추방 또는 임시 대여?
국가 유적, 기념물, 보호구역
결론
제5장 관광
역사
오늘날 쿠바의 환경
결론
제6장 정보
인간의 상상 속에서의 “장소”의 구축
계급, 정당화 그리고 선전(Propaganda)
쿠바의 시민사회와 정보 기술
19세기 쿠바 독립의 수사학적 구호
정치 광고판
장소, 경관 그리고 담론
정보경관을 넘어서
결론
제7장 결론: 쿠바 경관은 어떻게 변했는가?
참고문헌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