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I. 언어와 이미지의 이론적 탐색
01. 이미지의 언어화에 따른 객관화 문제 연구 / 3
1. 서 론 / 3
2. 이미지와 언어의 관계 / 5
3. 무미학적 선택과 생산자로서의 미술가 / 10
4. 저자 개념과 저자의 죽음 / 14
5. 언어를 기본으로 한 예술의 객관화 / 20
6. 결 론 / 26
02. 러시아 시각예술과 디자인에 나타난 에크프라시스의 문제 ····· 33
1. 들어가면서 / 33
2. 러시아 회화에 나타난 에크프라시스 : 이콘에서 포스트모던 회화까지 말-이미지의 관계 / 35
3. 러시아 디자인에 나타난 에크프라시스 / 40
4. 러시아 시각 예술 에크프라시스가 문화 디자인에 던지는 함의 / 46
II. 동양과 서양 문화 속의 언어와 이미지
03. 중세 필사본 및 고인쇄본의 삽화에 대한 단상 / 53
1. 서 론 / 53
2. 중세 필사본의 ‘p텍스트와 이미지’/ 56
3. 중세 고인쇄본에 나타나는 텍스트와 이미지의 관계 / 66
4. 결론을 대신하여 / 85
04. 문자 · 이야기이미지 · 시각적 이미지의 상호교섭과 해독 / 91
1. 한자(漢字)문화와 문자도(文字圖) / 92
2. 조선시대 민화(民畵)문자도와 효제문자도(孝悌文字圖)의
형성 / 98
3. 효제도 8글자의 이야기 내용구성 / 114
4. 효제도의 이야기이미지·시각적 이미지의 상호교섭과 유형별
의미구조 / 129
5. 효제도 의미구조의 해독 결과 / 147
III. 사회 · 이데올로기 · 역사와 이미지
05. 이미지, 역사, 해석: 「j라메종 프랑스」j읽기 / 157
1. 「j라메종 프랑스」혹은 역사의 재해석 / 157
2. 예비적 고찰 / 161
3. 분 석 / 165
4. 결 론 / 183
06. 러시아 유대인 화가 마르크 샤갈의 회화 세계 / 187
1. 서 론 / 187
2. 러시아적 정체성의 확립과 아방가르드 예술의 재해석 / 189
3. 유대적 상상력의 기원과 예술적 실천 / 227
4. 결 론 / 264
IV. 영상 언어와 이미지
07. 지아장커의 이미지 서사 구성과 문자, 언어 / 271
1. 정지하는 가 / 276
2. 서술하는 가 / 284
3. 느끼는 가 / 292
4. 이미지-서사에서 문자는 무을 말하는 가 / 298
08. 영화 이미지의 지표적 의미론 / 303
1. 사진과 영화 이미지의 지표적 의미론 / 303
2. 도상성과 지표성의 길항 - 전기 영화의 의미론 / 314
3. 극영화에서의 사진 이미지의 지표적 의미론 / 331
4. 도상적 영화의 지표적 의미론 / 340
V. 일상성의 이미지와 문화 해석
09. 일상(日常)의 Semiosis / 347
1. 들어가며 / 347
2. 맺으며 / 360
10. 문화, 기호, 해석 / 363
1. 문화연구와 과학성 / 363
2. 카시러: 상징형식으로서 문화 / 365
3. 문화기호학 / 367
4. 문화와 해석 / 376
5. 재현의 위기와 상호문화적 해석 / 385
찾아보기 ∙393
필자소개 ∙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