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문화가 있다면 행복한 삶을 살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불행한 삶이 된다. 인간이 인간답게 살려면 좋은 문화가 있어야 하지만, 불행하게도 지금 한국에는 좋은 문화가 없거나 아주 많이 부족하다. 그래서 한국인들의 마음은 계속해서 아프다.
목차
저자 서문
책을 시작하며 경복궁 옆 송현동 이야기 - 미 대사관 직원 숙소였던 곳 문화에 대한 너무나 좁은 이해들 이른바 대통령 직속 ‘문화융성위원회’라는 단체의 한계 이른바 ‘문화의 날’이라는 날의 문제점 그렇다면 도대체 문화란 무엇일까? - 그리고 문화적인 삶이란 어떤 것일까? 문화가 없는 삶을 사는 한국인들 - 아마도 전 세계에서 가장 물질중심적인 민족? 일천한 한국의 제사 문화 가족을 넘지 못하는 한국인들 한국 부자와 서양 부자의 차이 문화는 일상에 녹아 있는 것! 한국인에게는 좋은 문화가 없다! 문화와 정치의 관계 - 문화는 정치를 구원하고 정치는 문화를 융성하게 한다 문화와 정치는 수레의 두 바퀴 같은 것
본론 전혀 문화적이지 않은 한국 문화
1. 경박하고 무(無)문화적인 한국의 사회문화 - 더 열악해져만 가는 언어문화를 중심으로 가장 많이 배웠다는 교수들도 문화맹자들 교수라고 다를 것 없다! 정치인, 외교관 같은 관리들도 문화가 없기는 마찬가지 예쁜 얼굴과 아름다운 얼굴의 차이 존비어 문제 - 반말을 없애야, 하니면 최소한으로 줄여야 호칭에서 나타나는 권위주의 '정지, 라이트 꺼, 시동 꺼, 운전자 하차' 잘못 사용되고 있는 존비어 체제 한국인이여! 반말은 이제 그만!! 한국의 가족적인 호칭을 없애던지, 아니면 아주 단순하게 하던지 한국어의 호칭에는 you가 없다 한국 호칭문화의 번거로움 꼭 없애야 할 'xx한 것 같아요'라는 어법에 대해 말의 향기가 그다지 풍기지 않는 현대 한국인들의 말 1 말의 향기가 그다지 풍기지 않는 현대 한국인들의 말 2 맥락 없이 무조건 축약하는 한국인의 언어 습관 - '응답하라 1988'이 '응팔'로 어쩔 수 없는 동어반복의 예 - '빠른 쾌유' 등
2. 여전히 바닥을 면치 못하고 있는 한국인의 생활문화 수준 가짜 초상화가 판치는 한국의 지폐 - 무문화의 극치 문제 많은 만 원 권의 세종 초상 북방계에 속할 세종의 얼굴을 남방계의 얼굴로 그리다! 겉껍데기만 남은 한국인의 통과 의례 - 무문화적인 한국인의 일생 기일(基一) : 탄생 기이(基二) : 결혼 기삼(基三) : 장례 기사(基四) : 제사
3. 그 외 무문화적인 현상이 판치는 한국 사회의 여러 단면들 - 종교계와 교육계에 나타나는 양상을 중심으로 기괴한 한국의 종교계 1 - 개신교 기괴한 한국의 종교계 2 - 불교 무문화의 온상, 한국의 교육계
4. 결론 - 그러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이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문제 해결을 위한 하나의 제안 - 새로운 개념의 연구소(싱크탱크) 설립
책을 끝내며
후기
서가브라우징
큰손과 좀도둑의 정치경제학 : 한국의 정치경제 왜 허약한가2002 / 최윤재 지음 / 나무와숲
큰손과 좀도둑의 정치경제학 : 한국의 정치경제 왜 허약한가2002 / 최윤재 지음 / 나무와숲
(한류로 읽는) 한국문화 = Korean culture read through the Korean wave 2023 / 지음: 최정아 / 한글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