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화보
추천사
저자의 말
일러두기
제1장 서론 : '추사의 서화' 마음으로 쓰고 그리다
제2장 18세기 전후 조선조 학예사조와 추사의 생애
1. 18세기 전후 조선조의 학예사조
1) 양명심학의 고조와 예술적 ‘진眞’의 추구
2) 실사구시의 풍조와 학문적 ‘실實’의 추구
3) 문체반정의 추동과 문도상수론의 대두
2. 추사 생애의 미학적 심화 단계
1) 문이재도론적 이학理學미학의 학습 시기
2) 문도상수론적 전환과 실학적 온축 시기
3) 격조·성령 묘합의 자득적 체현 시기
제3장 추사 서화미학의 유 선 학적 추구와 진화
1. 문이재도론적 이학理學미학의 추구
1) 경세지향적 존고存古·소원溯源미학의 추구
2) 실사구시적 감식鑑識·비평批評미학의 추구
3) 자향권기적 사기士氣·아취雅趣미학의 추구
2. 선기 禪機의 자득적 수용과 심미경계의 심화
1) 선기묘용禪機妙用의 원융무애圓融無碍적 심화
2) 기봉묘도機鋒妙道의 향상도하香象渡河적 심화
3. 이학 理學미학이 심학 心學미학적 진화
1) 문이재도文以載道의 문도상수적 진화
2) 문도상수文道相須의 격조·성령 묘합적 진화
3) 천명지성天命之性의 자득기발적 진화
제4장 추사 서화의 심학 적 심미경계 구현
1. 박고통금 博古通今의 격조 格調미학적 심미경
1) 존고의식적 비첩혼융碑帖混融미학
2) 법고창신적 음양대대陰陽對待미학
2. 천기자발 天機自發의 성령 性靈미학적 심미경
1) 방경고졸方勁古拙의 청고경淸高境
2) 우연욕서偶然欲書의 허화경虛和境
3. 심즉선경心卽禪境의 환아還我미학적 심미경
1) 소산간원蕭散簡遠의 담박淡泊미학
2) 미추불분美醜不分의 불이선경不二禪境
제5장 결론: 또 다른 위대한 추사를 기다리다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