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서론
1 동아시아 군주제와 국제질서 그리고 책봉의례
2 검토 내용과 검토 방법
제2장 명·청 대 조공·책봉제도와 책봉의례
1 여말·선초 명과의 조공·책봉관계 성립과정
2 명·청 대의 조공제도와 책봉제도
1) 명·청 대 책봉제도 및 책봉문서의 유래
2) 명·청 대 조공제도의 유래
3) 명·청 대의 책봉제도와 고명·인장
4) 명·청 대의 조공제도와 표문
3 조선국왕·왕비·왕세자의 책봉절차와 의례
4 봉호·책보·상징물의 종류와 기능에 대한 비교
5 책봉에 따른 권리와 의무
제3장 조선시대 왕실 봉작제와 책봉의례
1 왕비와 후궁의 책봉의례
1) 왕비의 책봉의례
2) 후궁의 책봉의례
2 왕세자와 왕세자빈의 책봉의례
1) 『대명집례』의 ‘책황태자’와 『국조오례의』의 ‘책왕세자의’
2) 『대명집례』의 황태자비 책봉의례와 『국조오례의』의 왕세자빈 책봉의례
3 왕자와 왕녀의 봉작과 봉작의례
1) 왕자의 봉작의례
2) 왕녀의 봉작의례
4 봉호·책보·상징물의 종류와 기능에 대한 비교
5 책봉에 따른 권리와 의무
1) 진상 또는 공상을 받을 권리
2) 봉작과 궁녀
3) 거주지 제한과 관직 금고
제4장 대한제국기 황실 봉작제와 책봉의례
1 황후와 후궁의 책봉의례
1) 명성황후의 책봉의례
2) 궁인 엄씨의 후궁 책봉의례
2 황태자와 황태자비의 책봉의례
1) 황태자의 책봉의례
2) 황태자비의 책봉의례
3 태후의 존숭의례
4 황자의 책봉의례
5 봉호·책보·상징물의 종류와 기능에 대한 비교
6 책봉에 따른 권리와 의무
1) 책봉에 따른 인적·물적 권리
2) 책봉에 따른 의무
제5장 맺음말
1 내용 정리
2 의의 및 향후 전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