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 책이 나오기까지
논의를 시작하면서
제1장 사회의 보편이론
1 실증주의적 사회학│오귀스트 콩트│
(1) 프랑스 대혁명과 콩트의 지적 세계: 사회의 재조직화를 위하여
(2) 실증철학과 사회학: 정신의 재조직화를 위하여
(3) 사회정학과 사회동학: 사회학은 사회적 질서와 진보의 법칙을 추구한다
(4) 개인, 가족, 사회
2 진화론적 사회학│허버트 스펜서│
(1) 종합철학과 사회학
(2) 사회는 진화하는 유기체이다
(3) 스펜서는 비교사회학의 선구자인가?
(4) 유기체론적 진화론자 스펜서는 자유주의적 개인주의자이다
3 유물론적 사회학│카를 마르크스│
(1) 헤겔, 포이어바흐, 애덤 스미스: 마르크스의 지적 배경
(2) 노동, 주체, 인간
(3) 근대 자본주의 사회의 경제적 해부학을 찾아서
(4) 행위, 구조, 법칙: 마르크스의 이론은 인류 사회의 보편이론이다
중간고찰
콩트, 스펜서, 마르크스는 사회학의 선구자일 뿐 창시자는 아니다
제2장 사회적인 것의 중범위이론 1
1 사회학적 칸트주의│에밀 뒤르케임│
(1) 콩트와 몽테스키외 그리고 칸트와 분트: 프랑스와 독일 지적 전통의 창조적 종합
(2) 뒤르케임은 사회학주의자이다?
(3) 도덕적 개인주의를 위하여
(4) 사회학적 방법의 규칙들
2 형식사회학│게오르그 짐멜│
(1) 사회는 사회적 상호작용으로 해체된다
(2) 민족심리학, 자연과학 그리고 칸트 철학: 짐멜 사회학의 지적 배경
(3) 개인과 사회: 사회학의 근본 문제
(4) 철학과 경험과학의 관계
3 이해사회학│막스 베버│
(1) 반사회학자 베버: 사회에 대한 과학인 사회학은 ‘불임’이다
(2) 사회학자 베버: 사회학에는 사회가 없다
(3) 개인주의적-구조주의적 이해사회학을 찾아서
(4) 이해와 설명
제3장 사회적인 것의 보편이론 1
1 현상학적 사회학│알프레트 슈츠│
(1) “밤에는 현상학자, 낮에는 은행원”: 슈츠의 인간적-지적 삶
(2) 베르그송, 후설 그리고 베버: 철학과 사회학의 결합을 위하여
(3) 왜 사회학을 현상학적으로 정초하는가?
(4) 생활세계와 그 구조
2 구조기능론│탤컷 파슨스│
(1) 자원론적 행위이론: 기존의 사회과학적 조류의 종합을 위하여
(2) 자원론적 행위이론에서 체계론적 행위이론으로
(3) 사회적 체계로서의 사회
(4) 인간 조건의 패러다임
제4장 사회적인 것의 중범위이론 2
1 결합태사회학│노르베르트 엘리아스│
(1) 엘리아스의 개인적-지적 배경 및 그의 사회학의 형성 과정
(2) 콩트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파슨스에 대한 비판
(3) 개인과 사회의 이분법을 넘어서: 결합태와 과정
(4) 문명화 과정의 사회학: 심리발생적 및 사회발생적 접근 방법에 입각한 역사사회학
2 사회실천학│피에르 부르디외│
(1) 부르디외 사회학의 지적 배경
(2) 사회실천학: 주관주의와 객관주의를 넘어서
(3) 자본, 아비투스, 사회적 공간, 장, 계급: 사회적 실천의 장으로서의 사회
(4) 인류학적 사회학?: 이론과 경험의 결합
제5장 사회적인 것의 보편이론 2
1 의사소통행위이론│위르겐 하버마스│
(1) 하버마스와 비판이론 및 마르크스주의의 관계
(2) 『의사소통행위이론』: 한 편의 거대한 해석학적 오디세이
(3) 사회학의 언어론적 정초
(4) 두 단계 사회이론과 체계에 의한 생활세계의 식민지화
2 체계이론│니클라스 루만│
(1) 체계이론, 사회적 체계이론, 사회(체계)이론
(2) 방법론적 반인본주의: 주체 없는 사회학을 위하여
(3) 루만은 기존의 사회학 이론 및 철학적 전통에 작별을 고했다(?)
(4) 사회적 체계, 사회(체계) 그리고 세계사회
논의를 마치면서
참고 문헌
인용 문헌
인명 찾아보기
개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