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근대 초기 '기독교'와 '과학'이 지식과 서사의 형태로 이야기되고 번역된 과정을 추적한 책. 이 책은 언어를 기반으로 한 근대적인 무엇이 유입, 구축, 확산된 역사적 맥락에 관한 이야기이자, '중립적 이야기'로 쉽게 오해되던 것을 가로지르는 역사적 혹은 무의식적 '담론'들을 읽어내려는 시도이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머리에
제1부 기독교의 문화적 개입과 근대 지식의 형성
제1장 미션스쿨과 식민지 지식의 아카이브-연희전문학교 도서관 기증사를 중심으로
1. 서론
2. 식민지 시기 미션스쿨의 문서고 형성 과정
3. 책의 공유(公有)와 지식의 접합 혹은 경합
4. 결론
제2장 식민지 시기 기독교와 의학지식의 형성-세브란스 의전 교수 반 버스커크의 출판 활동을 중심으로
1. 서론
2. 의학 지식의 대중화 주도
3. 과학의 도전에 대한 의료선교의 대응
4. 결론
제3장 계몽의 요철(凹凸) -점자(點字)와 점역(點譯)의 근대사
1. 서론
2. 문맹(文盲)과 맹인(盲人)의 동시적 탄생
3. 정치와 ‘맹인’ 그리고 ‘점자’
4. 결론
제2부 식민지와 번역된 기독교, 그 출판의 지형
제1장 식민지 시기 기독교 출판과 책의 유통-조선예수교서회를 중심으로
1. 서론
2. 식민지 조선에서의 선교사의 출판 활동
3. 조선예수교서회와 지식의 유통
4. 결론
제2장 기독교, 전기를 번역하다-식민지 시기 조선예수교서회의 번역 전기 출판
1. 서론-1900년대 구국의 영웅전기, 그 이후
2. 선교사와 번역, 그리고 전기
3. 무엇이 번역되었는가
4. 두 번역 주체들
5. 결론
제3장 근대 초기 선교사 부인의 저술 활동과 번역가로서의 정체성
1. 서론
2. 언더우드 부인(Lilias H. Underwood, 元杜尤夫人, 1851~1921)
3. 베어드 부인(Annie L. Baird, 安愛理, 1864~1916)
4. 노블 부인(Mattie Wilcox Noble, 魯普乙夫人, 1872~1956)
5. 노튼 부인(Mrs. A. H. Norton, 魯敦夫人)
6. 결론
제4장 근대의 기적 서사 헬렌켈러 자서전의 식민지 조선 수용 -‘불구자’, ‘성녀’가 되다
1. 서론
2. 식민지 조선에 상륙한 헬렌켈러
3. ‘불구자’의 ‘자서전’-근대인의 멜로드라마
4. 계몽의 서사와 기독교
5. ‘그녀를 동정하라’-식민지인의 자기 위안과 제국의 국가 통합 기제
6. 결론
제3부 과학이라는 서사의 독해
제1장 “나는 살아있는 것을 연구한다”-파브르 『곤충기』의 근대 초기 동아시아 수용과 근대 지식의 형성
1. 서론
2. 월경(越境)하는 텍스트-아나키스트, 『곤충기』를 번역하다
3. 식민지 조선의 파브르와 『곤충기』
4. ‘자연’, ‘과학’의 이름으로 ‘도덕’이 되다
5. 결론
제2장 ‘새로운 신’ 과학에 올라탄 제국과 식민의 동상이몽-퀴리부인 전기의 소설화를 중심으로
1. 서론
2. 퀴리부인 전기의 수용사
3. 조선어 퀴리부인 전기와 소설
4. 과학을 통한 식민지인의 월경(越境) 욕망
5. 결론
제3장 1920년대 초 식민지 조선의 아인슈타인 전기와 상대성이론 수용 양상
1. 서론
2. 아인슈타인, 조선을 빗겨가다
3. 아인슈타인을 대중적으로 보급한 주체들
4. 조선어 단행본 『偉人아인스타인』의 발간 정황
5. 결론
참고문헌
간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