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시골 농부를)스타로 만든다 : 다베루 통신의 도전
발행연도 - 2016 / 다카하시 히로유키 지음 ; 염혜은 옮김 / 마루비
-
도서관
청라국제도서관
-
자료실
[청라국제]종합자료실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CI0000025191
-
ISBN
9791195512126
-
형태
244p. 21cm
-
한국십진분류
기술과학
>
농업, 농학
>
농업경제
-
카테고리분류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책소개
'먹거리'를 통해 세상이 어떻게 바뀌어 가는지를 보여주는 생생한 도전의 기록. 저자는 자신이 단 한 번도 1차산업의 무대에 올라온 적이 없다는 사실을 통감하고 과감하게 정치생활을 접고 농촌과 어촌 생산자들을 위한 오른팔이 되겠다고 결심하고 사회사업가의 길로 들어선다.
목차
들어가는 말
01/ 지방에서 깃발을 꽂고 계속하다 - 〈도호쿠 다베루 통신〉은 이렇게 탄생했다
도호쿠 콤플렉스
당사자의식이 싹튼 국회의원 비서 시절
패배감에서 비롯된 현의원 선거 도전
‘3 없음’의 내가 매일 계속한 길거리 연설
이익 유도형에서 이념 공감형의 정치로
3000명과 빙 둘러앉아 ‘도란도란 현정 보고회’
1차산업 세계에도 있었던 고객 민주주의
이미 벼랑 끝에 몰린, 어업의 일손부족
연안부 250km를 걷는 젊은 현지사의 선거전
생활인으로서의 시점이 결여된 연설
정계를 은퇴하고 수산업에 뛰어들다
생산자와 소비자의 연결이 1차산업을 살린다
02/ 사상 최초의 '먹는 정보지'
먹거리 서비스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생산현장 리얼리티가 소비사회에 던진 것
창간 스타트 돌진!
‘생명’으로서의 먹거리를 소비자에게 릴레이하다
‘상근+프로보노’ 체제의 정예팀
철저한 ‘현장주의’로 ‘대변자’를 자처하다
혼슈 땅 끝에서 어부들에게 혼나다
[<도호쿠 다베루 통신> 발행의 뒷면
발송현장에서 보는, 생산자 생활과 리얼리티
고도 유통 시스템의 장단점
‘다음 사회’의 힌트는 1차산업 현장에 있다
<도호쿠 다베루 통신>은 1차산업의 3차산업화
03/ 도시와 지방,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커뮤니티의 힘
매달 도착하는 정보지는 ‘시작’에 불과하다
‘동사리 사건’을 통해, 만드는 입장에 바짝 다가간 공감자
‘만나러 가는 아이돌’ 대신 ‘만나러 가는 생산자’
도쿄에서 자란 여성이 바다에서 먹거리의 ‘생명’을 만나다
‘버리는 것’에서 ‘돌려주는 것’으로 -고기쿠 호박 이야기
갈 길이 막혀버린 도시를 구하는 농촌
무슨 신흥종교 같다고?! -커뮤니티 서비스의 어려움
논으로 달려간 도시인이 수확한 것
지금 소비자에게 결여되어 있는 것은 ‘공감의 힘’
도시와 지방이 뒤섞인 새로운 ‘고향’을 찾아서
1억 명 일본 사회의 현실을 향해
04/ 생산자와 소비자가 한 발짝씩 다가가 서로를 지탱하는 'CSA'
‘맞선’을 보고, 농부와 ‘결혼’하기를 바라며
미국과 유럽에 퍼져 있는 ‘CSA’의 4가지 특징
후원자 없는 농부가 만든 네트워크
미국형을 진화시킨 일본형 CSA
설립 초기, 악플 쇄도에서 배운 운영기술
회원의 의식을 바꾼 ‘CSA 미팅’
‘지산지소’가 아닌 ‘지산지소’
생산자의 꿈을 커뮤니티와 공유하다
일본 솔루션으로서의 CSA
05/ 전국으로 범위를 넓힌 〈다베루 통신〉 모델
커뮤니티 서비스는 1,500명 한정으로
지역의 독자성을 ‘리그제’로 활성화
적자경영에서 탈피하여 웹 플랫폼을 만들다
많은 지원자로부터 520만 엔이 모인 기적
자유로운 주문생산으로 <시코쿠 다베루 통신> 창간
지방색을 살린 소규모 <히가시마쓰시마 다베루 통신>
<다베루 통신> 등용문인 ‘리그 운영회의’
만나러 갈 수 있는 편집장. ‘도란도란 좌담회’
도시 최초의 <가나가와 다베루 통신>으로 내 주변의 생산자를 알게 되다
대기업 TV방송국이 <다베루 통신> 기획에 참여하다
마케팅 3.0으로서의 <다베루 통신>
일본 전역에 100개의 <다베루 통신>을 계획하다
1차산업을 정보산업으로 바꾸다
어느새 그라운드로 내려온 독자들
끝내는 말
부록
일본 전역으로 확산된 각 지방의 <다베루 통신>
<다베루 통신> 월드 문을 활짝 열어드립니다
도호쿠 각지의 CSA 커뮤니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2 |
50대 | 2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1 |
2019년 | 0 |
2020년 | 1 |
2021년 | 1 |
2022년 | 1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