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착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아시아의 정체성을 규명한 연구서다. 자연지리, 국제정치, 경제성장, 사회심리, 문화인류학 등의 다양한 분야의 석학들이 아시아를 각 지역간의 인적, 물적 교류 등의 '관계'를 중심에 놓고 연구한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제1장 아시아는 통한다 / 임현진
1. 머리에
2. 미국과 중국: 뒤바뀌는 위상
3. 초국적 공동체는 ASEAN이 선도
4. 한국, 중국, 일본 사이의 물적·인적 교류

제2장 국경을 넘는 위험/ 박수진
동아시아의 환경변화와 위험의 변화
1. 동아시아 발전의 이면
2. 전세계 재해피해의 증가추이
3. 아시아의 재해에 대한 취약성
4. 자연재해 증가의 원인
5. 재해인식과 발생의 향후 전망

제3장 아시아 국가의 추격, 추월, 추락과 아시아적 발전모델/이근
1. 들어가며: 왜 국가의 흥망성쇠인가
2. 국가의 추격, 추월, 추락의 일반적 분석틀: 선진국 대 후발국
3. 후발국가들의 흥망성쇠의 재해석: 외환확보와 내재적 혁신능력
4. 마치며

제4장 조약의 네트워크/ 박원호
한중일과 주변국들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왜 조약의 네트워크인가?
2. 네트워크 분석과 국제정치학의 기존 연구
3. 분석 결과
4. 상세 내용
5. 결과 요약

제5장 동아시아 사회에서 나타나는 “아시아적 가족가치”의 특징/ 은기수
1. 서론
2. 자료와 방법론
3. 아시아적 가족가치 1: 3개국을 중심으로 한 자료 분석
4. 아시아적 가족가치 분석 2: 한국, 일본, 대만의 개별 자료분석
5. 요약 및 결론

제6장 한중일 청년세대의 얼굴을 읽다/ 김홍중
1. 사회학적 관상학
2. 양광지안(陽光之顔)
3. 로스-제네의 자화상
4. 생존주의자의 얼굴
5. 마치며

제7장 아시아를 흐르는 문화의 강물/ 강명구
아시아를 보는 아시아의 시선은 오리엔탈리즘을 벗어났을까
1. 들어가는 말
2. 초국경 문화구성: 흐름과 이동
3. 한?중?일 세 가지 산업분야의 현황

제8장 동아시아의 창조성/ 김청택
1. 창조성이란 무엇인가?
2. 서양의 창조성과 동양의 창조성은 동일한가?
3. 개인의 창조성과 사회의 창조성
4. 국가 간 창조성 비교
5. 창조성에 대한 인식

6. 맺는말

제9장 사회의 질, 경쟁, 그리고 행복/ 이재열
1. 경제성장으로 우리는 더 행복해졌나
2. 물질재에서 지위재로
3. 행복과 사회의 질(social quality)
4. OECD 국가의 사회의 질과 경쟁의 구조적 조건
5. 결론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순수에게  : 십대에게 말 거는 손석춘의 에세이 순수에게 : 십대에게 말 거는 손석춘의 에세이 2009 / 손석춘 지음 / 사계절
나는 오늘 사표 대신 총을 들었다 나는 오늘 사표 대신 총을 들었다 2016 / 마크 에임스 지음 ; 박광호 옮김 / 후마니타스
예외 : 경계와 일탈에 관한 아홉 개의 사유 예외 : 경계와 일탈에 관한 아홉 개의 사유 2015 / 강상중 [등] 지음 / 문학과지성사
(7인 7색)21세기를 바꾸는 교양 (7인 7색)21세기를 바꾸는 교양 2004 / 홍세화...[등]지음 / 한겨레신문사
페어플레이 = Fair play  : nonsense 공화국에서 fair play 공화국으로 페어플레이 = Fair play : nonsense 공화국에서 fair play 공화국으로 2013 / 임병덕 지음 / for book
편의점 사회학 편의점 사회학 2014 / 전상인 지음 / 민음사
고아, 족보 없는 자 : 근대, 국민국가, 개인 고아, 족보 없는 자 : 근대, 국민국가, 개인 2014 / 박선주, 오경환, 홍양희 [공]엮음 ;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기획 / 책과함께
아시아는 통한다 : 흐름과 관계를 통해 본 知圖 아시아는 통한다 : 흐름과 관계를 통해 본 知圖 2016 / 임현진 외 지음 / 진인진
대중지성의 시대  : 새로운 지식문화사를 위하여 대중지성의 시대 : 새로운 지식문화사를 위하여 2008 / 천정환 지음 / 푸른역사
사악한 것을 물리치는 법 : 자연재해에서 기호적 살인까지 사악한 것을 물리치는 법 : 자연재해에서 기호적 살인까지 2016 / 우치다 다쓰루 지음 ; 김경원 옮김 / 북뱅
곁에 서다 : 불행한 시대 이상한 나라에 사는 우리의 자세 곁에 서다 : 불행한 시대 이상한 나라에 사는 우리의 자세 2015 / 김중미 외 지음 ; , / 현실문화
곁에 서다 : 불행한 시대 이상한 나라에 사는 우리의 자세 곁에 서다 : 불행한 시대 이상한 나라에 사는 우리의 자세 2015 / 김중미 외 지음 ; , / 현실문화
국제환경의 변화와 한국의 미래 국제환경의 변화와 한국의 미래 2013 / 지은이: 백창재, 신욱희, 유근배, 윤석민, 전경수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소설로 읽는 경남 소설로 읽는 경남 2013 / 김은영 저 / 선인
삼성이 아니라 국가가 뚫렸다 : 들뢰즈·과타리 이론으로 진단한 국가, 자본, 메르스 삼성이 아니라 국가가 뚫렸다 : 들뢰즈·과타리 이론으로 진단한 국가, 자본, 메르스 2015 / 김재인 지음 / 길밖의길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스웨덴의 저녁은 오후 4시에 시작된다 : 일상을 행복으로 만드는 복지이야기  스웨덴의 저녁은 오후 4시에 시작된다 : 일상을 행복으로 만드는 복지이야기 2019 / 지음: 윤승희 / 추수밭
당선, 합격, 계급 : 장강명 르포 : 문학상과 공채는 어떻게 좌절의 시스템이 되었나 당선, 합격, 계급 : 장강명 르포 : 문학상과 공채는 어떻게 좌절의 시스템이 되었나 2018 / 지음: 장강명 / 민음사
야망의 시대  : 새로운 중국의 부, 진실, 믿음 야망의 시대 : 새로운 중국의 부, 진실, 믿음 2015 / 에번 오스노스 지음 , 고기탁 옮김 / 열린책들
(한국인만 모르는)다른 대한민국  : 하버드대 박사가 본 한국의 가능성 (한국인만 모르는)다른 대한민국 : 하버드대 박사가 본 한국의 가능성 2015 /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지음 / 북이십일 21세기북스
기적을 이룬 나라 기쁨을 잃은 나라 기적을 이룬 나라 기쁨을 잃은 나라 2020 / 지음: 다니엘 튜더; 옮김: 노정태 / 문학동네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 : 행복지수1위 덴마크에서 새로운 길을 찾다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 : 행복지수1위 덴마크에서 새로운 길을 찾다 2015 / 오연호 지음 / 오마이북
386 세대유감 : 386세대에게 헬조선의 미필적고의를 묻다 386 세대유감 : 386세대에게 헬조선의 미필적고의를 묻다 2019 / 지음: 김정훈, 심나리, 김항기 ; 해제: 우석훈 / 웅진지식하우스
중국인은 누구인가 : 더 알아야 할 중국·중국인이야기 중국인은 누구인가 : 더 알아야 할 중국·중국인이야기 2015 / 강성현 지음 / 은행나무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덴마크 사람들 : 그들과 함께 살아본 일 년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덴마크 사람들 : 그들과 함께 살아본 일 년 2016 / 헬렌 러셀 지음 ; 백종인 옮김 / 마로니에북스
핀란드가 말하는 핀란드 경쟁력 100 핀란드가 말하는 핀란드 경쟁력 100 2010 / 일까 따이팔레 엮음 ; 조정주 옮김 / 비아북
영국 외교관, 평양에서 보낸 900일 영국 외교관, 평양에서 보낸 900일 2014 / 존 에버라드 지음 ; 이재만 옮김 / 책과함께
굿바이 일본 : 일본에 대한 편견이 아닌 편견 같은 진실 굿바이 일본 : 일본에 대한 편견이 아닌 편견 같은 진실 2019 / 지음: 김교수 / 그린하우스
친일과 망각 친일과 망각 2016 / 김용진, 박중석, 심인보 지음 / 다람
이제는 유럽이다 : 이제 우리는 유럽의 과거 현재, 성공과 실패를 배워 함께 미래로 나아가야 한다. 이제는 유럽이다 : 이제 우리는 유럽의 과거 현재, 성공과 실패를 배워 함께 미래로 나아가야 한다. 2006 / 이준필립 지음 / 교보문고
내릴 수 없는 배 : 세월호로 드러난 부끄러운 대한민국을 말하다 내릴 수 없는 배 : 세월호로 드러난 부끄러운 대한민국을 말하다 2014 / 우석훈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