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현재 우리나라에는 인간에 의해 그 개체 수가 현저히 줄거나 없어져 버린 동물들이 많다. 저자가 그동안 발표한 논문들을 수록한 책으로, 구체적인 자료들을 통해 지금 동식물이 처한 상황을 이해하고, 생명공동체에서 우리가 어떠한 태도를 갖고 살아가야 할 것인지에 대해 고민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목차
머리말
Ⅰ 생명공동체와 인간의 삶
1. 생명, 생명체, 생물다양성
1.1 머리말
1.2 생명과 생명체
1.3 생명체들의 공통 관심사: 고통
1.4 생물다양성 감소
1.5 생명공동체에서 인간의 역할
1.6 맺음말
2. 다른 동물들과의 의사소통
2.1 언어와 의사소통
2.2 의사소통을 위한 마음가짐
2.3 동물들의 사고력과 학습 능력
2.4 종류의 차이와 정도의 차이
2.5 결론 및 시사점
3. 거목과 노목의 가치
3.1 문제제기
3.2 거목/노목의 종류와 특징
3.3 거목/노목에 대한 인간의 몸가짐
3.4 거목/노목의 상징성
3.5 요약 및 결론
4. 소나무와 참나무의 힘겨루기
4.1 문제제기
4.2 소나무와 우리 겨레의 삶
4.3 참나무와 우리 겨레의 삶
4.4 숲의 교란에 따른 역설의 발생
4.5 요약 및 결론
5. 풍수와 환경 문화
5.1 문제제기
5.2 풍수와 명당 찾기
5.3 명당의 경영
5.4 명당의 경영과 환경 문화
5.5 요약 및 결론
Ⅱ 멸종 위기 동물 복원의 필요성
6. 여우와 늑대의 삶
6.1 문제제기
6.2 여우의 종류, 특징 및 분포 상황
6.3 늑대의 종류, 특징 및 분포 상황
6.4 이야기나 작품 속에서의 역할
6.5 복원 방법과 생명공동체에서의 위치
6.6 결론 및 시사점
7. 호랑이와 표범의 삶
7.1 문제제기
7.2 표범·호랑이의 특징, 종류 및 분포 상황
7.3 이야기나 작품 속에서의 역할
7.4 복원 문제와 생명공동체에서의 위치
7.5 요약 및 결론
8. 반달가슴곰의 삶
8.1 문제제기
8.2 곰의 종류, 특징 및 분포 상황
8.3 이야기나 작품 속에서의 역할
8.4 복원 상황과 문제점
8.5 사람과 곰, 그리고 생명공동체
8.6 요약 및 결론
9. 산양과 사향노루의 삶
9.1 문제제기
9.2 특징 및 분포 상황
9.3 가곡이나 우화에서의 역할
9.4 복원 사업과 생명공동체에서의 삶
9.5 결론 및 시사점
10. 물범·수달·황새·황금박쥐 등의 삶
10.1 머리말
10.2 황새·붉은 박쥐·수리의 삶
10.3 대륙사슴과 붉은 사슴의 삶
10.4 물범·수달·고래의 삶
10.5 복원 사업
10.6 요약 및 시사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