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천년불교. 멀리보기. 가볍게 훑어보기
인도불교
1. 근본불고
2. 부파불교
3. 대승불교
중국불교
1. 비단길의 열리고
2. 역경승의 도래
3. 격의불교
4. 교종
5. 선종
6. 천년을 돌아서
제1장 근본불교
사성제: 나의 고통, 타인의 고통
무이론: 나는 무엇인가?
연기설(Ⅰ): 운명, 필연, 그리고 신
연기설(Ⅱ): 왜 우연이면 안 되지
연기성공(緣起性空): 연기의 본성
팔정도: 어떻게 해야 해탈할 수 있지?
십이지연기설: 우리는 어떻게 세계를 인식하나?
중도사상: 쾌락과 고통을 여의다
제2장 대승불교
대승: 우리들의 수레는 무엇?
색즉시공공즉시색, 이 세계가 곧 진리
새로운 인간형. 보살
반야경(Ⅰ): 반야(般若), 그 말할 수 없는 세계
반야경(Ⅱ): 반야(般若)와 비트겐슈타인
반야경(Ⅲ): 아제아제 바라아제
중관학(Ⅰ): 파사(破邪)의 전사들
중관학(Ⅱ): 용수(龍樹)의 중도사상(中道思想)
중관학(Ⅲ): 팔불설(八不說), 그 부정의 논리
유식학(Ⅰ): 유식무경(唯識無境), 주체를 찾아서
유식학(Ⅱ): 이제(二諦)와 삼성(三性)
유식학(Ⅲ): 전식성지(傳識成智), 어떻게, 그리고 누구라도?
여래장자성청정심(Ⅰ): 왜 여래(如來)인가?
여래장자성청정심(Ⅱ): 자성(自性)은 아(我)가 아닌가?
제3장 중국불교
대승기신론(Ⅰ): 중국불교의 개화
대승기신론(Ⅱ): 일심(一心), 자유와 평등을 위하여
교종, 권력과 종교의 만남
선종(Ⅰ): 절대자유를 위하여
선종(Ⅱ): 일상의 재구성
기나긴 여정
자본주의와 불교